봉산문화회관

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일 ~

공연포스터
  • 전시명기억공작소 - 신기운展
  • 전시기간2022년 05월 11일(수) ~ 2022년 07월 10일(일)
  • 관람시간10:00 ~ 18:00
  • 장 소4전시실
  • 장 르영상

전시정보

 

 

봉산문화회관기획 2022기억공작소Ⅱ

신기운展

 

리얼리티 테스트_의자가 없다

Reality Test_There is no Chair

 

 

 

 

  ■ 관람일정 : 2022. 5. 11.(수) ~ 7. 10.(일), 월요일 전시 없음
  ■ 관람시간 : 10:00~18:00
  ■ 재즈 피아니스트 고희안 Live 퍼포먼스 : 5. 11.(수) 17:00 가온홀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4전시실(2층)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트위터(@bongsanart),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전시 소개
 기억 공작소Ⅱ『신기운』展

신기운 작가의 ‘리얼리티 테스트-의자가 없다展’은 “지금 공간이 가상현실인지 실제 존재하는 공간인지 구분하기 어렵지 않은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가상의 세계는 이미 현대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기술의 진보로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는 자체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시각적 인지를 눈으로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인지과학에 의하면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뇌의 구조적 파악으로 시각정보의 특징들이 선별적으로 처리된다. 뇌의 작용원리와 의식현상에 대한 연구가 발전할수록 자연스럽게 그 틈을 파고든 시각적 환경이나 사회적 합의가 조성되면 가상이 현실로 인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신기운 작가는 영화 매트릭스에 나온 대사 “There is no spoon”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내가 보고 있는 자신이 실존하지 않으며 프로그래밍된 가상의 실체라는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쉽게 믿기는 힘들다.”라는 것이다. 결국 뇌의 반응이나 믿음으로 결정되는 것이지만 가상이 실제보다 더 실제같이 존재하게 되면 명백한 가상현실임이 분명하더라도 그것을 그대로 인지하게 되는 모순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런 현실의 세계와 3차원 가상의 세계를 이야기하는 ‘메타버스(Metaverse)’를 미술의 영역에서 다시 현실적 접근을 하면, 가상의 환경이 존재하느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지적 가치의 작품을 가상공간 속에 창출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예술적 향유 방법이 관람객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가는지가 더 중요할 것이다. 그렇지만 크리에이티브(creative) 접근의 실현은 기존 예술의 영역이 확장되는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며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임은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최근 게임 엔진(Game Engine)이란 그래픽 엔진, 물리 엔진, 사운드 엔진 등을 모두 모아둔 ‘게임 개발용 도구 상자’의 기술적 접목은 실제 존재하는 이미지의 편집을 넘어서 작가의 상상력을 무제한 발휘하는 여건을 조성하며 실존하지 않는 공간까지 고퀄리티 그래픽으로 창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예술 생태계에 큰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과 기술의 접목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는 신기운 작가의 ‘리얼리티 테스트’ 작업 시리즈가 주목받는 이유일 것이다. 2010년부터 ‘감각’에 대한 의문을 시리즈로 발표하며 공간 속 존재와 비존재의 의미를 생성과 소멸하는 세계관 속에 존재하는 이미지로 담아내는 작업을 이어오며 기존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기술적인 방법들을 채택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새로운 실험은 기억 속에 존재했던 환경이지만 실체가 없으며 존재했었지만 모호하여 놓쳐버린 이미지를 가상공간에 게임 엔진 기술을 통해 작가의 기억 속 심리적 공간으로 새롭게 되살리는 영상작업을 선보인 점이 특이하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덩그러니 중심에 배치된 의자와 체험할 수 있는 오큘러스, 모니터 등의 영상미디어 기계가 존재할 뿐 실제 작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기계장치의 구동으로 전시가 구현될 뿐이며 전시장 벽면의 대형 영상작품도 VR 체험으로 보여주는 3차원 공간 모두가 가상이고 실체가 없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전시를 관람하기 위해 관람자가 의자에 앉았지만, 바라보는 영상 속 의자는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의자이며 분명히 관람자가 전시장에 존재하고 있지만, 시각 속 공간을 작가가 만든 가상공간으로 이동시켜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하는 프로세스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공감 장치로 전시 오픈에 피아니스트 고희안을 초청해서 작가의 가상영상 6개 작품을 보며 즉흥연주를 하는 퍼포먼스를 봉산문화회관 가온홀에서 선보였다. 이전 전시에서 실험하였던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의 작업의 연장선이지만 비대면이 아닌 대면 공연으로, 실존하는 영상이 아닌 가상의 영상으로 관객들이 ‘메타버스’에 대해 쉽고 친숙하며 몰입감 있도록 다가서는 실험을 시도했다. 이어 공연에서 녹취된 음악과 녹화된 영상을 전시장에 다시 구현하는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을 보여주며 다채로운 공감을 유도한다. 그래서 벌써 현실이 된 가상의 세계에 대한 예술적 해법과 함께 다소 생경하게 느껴지는 관람객들에게 자유로운 상상 속 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성큼 다가선 미래에 대한 예측과 변화를 사유할 수 있도록 다가선다. 아울러 점차 소실된 한정적인 공간을 대신하게 될 내적 새로운 공간인 가상의 세계가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 유토피아임을, 아울러 인간의 역할 축소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의 공포까지 다양한 예술적 담론을 형성케 하고 있다.

 

작가는 예술을 ‘감각적인 시각 자극을 통한 뇌속의 변화’로 정의하고 ‘시각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첨단 기술들 또한 다른 기술의 발전과정의 한 소절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결국, 작가에게는 우리가 감각적으로 이해하는 예술의 방식은 존재에 근거하지만, 시간성과 존재성을 함께 바라보는 의식을 통해 변화해 가는 감각의 전이가 예술이며, 그 실천을 위해 새로운 기술을 탐미하는 과정에서 기존 예술에 대한 인식과 가치에 의문을 던지는 또 하나의 전위적 발현을 통해 감각적 자율성의 스펙트럼을 넓히며 지속 가능한 예술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조동오

 


작품 이미지

 

전시전경

 


리얼리티 테스트_ 봉산문화회관 4전시실과 신기운 개인전을 위한 2전시장,
 메타버스에 가상 환경 전시장에 영상, 2022

 


리얼리티 테스트_의자가 없다,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8분, 2022
리얼리티 테스트_문은 없다,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8분, 2022
리얼리티 테스트_바다가 없다,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2분, 2022
리얼리티 테스트_나무가 없다,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4분 30초, 2022
리얼리티 테스트_의자가 없다_2,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8분, 2022
리얼리티 테스트_그곳은 없다, 가상 환경추출 영상, 1:1 영상, 4분, 2022

 

재즈 피아니스트 고희안 Live 퍼포먼스 2022. 5. 11. wed 17:00 가온홀

다시보기 https://youtu.be/KYEkklMFbl0

 

 

작가노트
우리는 이미 가상의 존재 하지 않는 것들의 가치를 의심하지 않는 사회에 살고 있다. 가상의 가치와 실물의 가치를 구분하고 의심하지 않는다. ‘리얼리티 테스트’는 꿈인지 현실인지 자각을 위해 하는 행동(믿지 못할 장면을 봤을 때 꼬집어 보는 것)을 말한다.

미완성된 공간이나 풍경을 장시간 촬영하는 작업 시도들이 다시는 촬영하지 못하고 있던 아쉬운 기억으로 남아있었다. 이제 개인 컴퓨터로 게임 엔진을 통해 필요한 환경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작업실 안에서 재현할 수 있다. 이것을 알게 되면서 기억의 공간과 시간의 장면을 만들어 보면서 미완의 이미지를 완성하는 가상 영상 실험이다.

이번 실험은 카메라 없이 만드는 풍경 영상작업이다. 디지털 데이터로만 존재하는 물건과 공간, 날씨, 시간, 위치의 조합이다. CG라고 우리가 통칭하던 기술이, 현대 미술의 영역, 영상과 설치 작업에서는 어떤 시도를 가능하게 한 것일지 고민하고 있다. 그리고, 전시장에 찾아가서 본다는 것 또한 메타버스로 이전되어 실제 전시보다 더 오래, 공간의 제한을 넘어 더 많은 감상이 가능한 방법도 시도해 보게 되었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매체 작업을 시작하면서 구상했던, 조셉 코수스의 ‘세 개의 의자’에 가상의 존재하지 않는 의자를 추가하는 작업, 나무숲에서 올려보면서 느낀 나뭇가지와 잎사귀 사이에서 보이는 대기의 변화들, 노르웨이 바닷가 마을 항구에 가지고 간 문 작업의 미완성된 모습, 아티스트 레지던시에서 본 작가들의 공동 부엌의 햇빛 등을 미완의 작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작가 신기운

 

참여작가 프로필
신기운  Shin, Kiwoun  申基雲
2010  GOLDSMITHS COLLAGE Fine Art MFA 졸업
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2003  서울대학교 조소과 졸업

 

개인전
2022  <기억공작소-신기운 리얼리티 테스트_의자가 없다> 봉산문화회관, 대구
2020  <무에서 그무엇으로 그모든것으로> 아트스페이스펄, 대구
       <정직한 탐구생활> 스페이스바+폰디 아뜰리에, 서울
2019  <네이처 프로젝트 공모전> 서울로 미디어캔버스, 서울
2018  <존재했었다, 존재한다, 존재 할 것이다> 스페이스바, 서울
2017  <세상은 회색이다> 윌링엔딜링, 서울
2015  <베이츠의 방> 디올드폴리스 스테이션, 런던, 영국
       <리얼리티 테스트_나비는 없다> 유쾌한아이디어 성수동 공장, 서울
2013  <굿모닝, 굿에프터눈, 굿이브닝, 굿나잇> 윌링엔딜링, 서울
       <현실과 현실성의 사이> 바벨 갤러리, 트론하임, 노르웨이
2012  브링검 영 대학교 미술관, 유타, 미국
2011  <이동/정지된-이동> 에스플라나드, 싱가폴 아트센터, 싱가폴
2006  <20세기소년> Platform L, 대안공간루프, 서울
2005  <하늘높이아름답게> 한국금융연수원+Space Cell, 서울

 

단체전
2022  <나를 만나는 계절> 대구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대구미술관, 대구
2021  <404040, 서울조각회 40주년특별기획전> 김세중미술관, 서울
       <감각의 문법> 부산현대미술관 소장품전, 부산
       아모레퍼시픽 현대미술소장품 특별전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
2020  김세중, 신기운 2인전<靑覺(청각): 푸름을 깨닫는다면> 빈집프로젝트, 서울
       SeMA 소장품전 <모두의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9  <2nd South Sour Water Performance and Visual Art Festival> 왈리아트, 타이페이, 대만
       <떠나거나 혹은 남거나> B-Galleria, 투르크, 핀란드
2017  <반짝반짝 세운상가> 서울
       <스쾃성수> S Factory 성수동, 서울
       <예술과 재난> SVA gallery, 스트라우드, 영국
2016  <예술과 재난, 귀국보고전> 한미갤러리, 서울
       <클럽 몬스터> 아시아 문화전당, 광주
       <페스티벌284: 영웅본색> 서울역284, 서울
       <소장품전: 두번생각해요> 대구미술관, 대구
       <스쳐지나가는 풍경의 영속적 광경들> 갤러리 퍼플, 경기도
2015  스페이스바421, 서울
       <2014 신소장작품전 2부 세마 미디어 살롱>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4  <더 브레인>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미디어극장, Welcome to Media Space 2011-2013 II> 영화의 전당, 부산
       <미디어극장,Welcome to Media Space 2011-2013>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4 부산비엔날레> 부산문화회관, 부산
       <하이 프라이스> 스케치, 런던
2013  <애니마믹 비엔날레 2013-2014> 대구미술관, 대구
       <2013 광주 국제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구 전남도청 광장, 광주
       <아트 인 모션> 단원미술관, 안산
       <갤러리 퍼플 스튜디오 입주작가전> 갤러리 퍼플, 남양주
       <휴먼 무브먼트 인 파리> 갤러리89, 파리
       <서울 스퀘어 아트페스티벌> 서울스퀘어, 서울
       <라데몬 오픈스튜디오> 라데몬 아트 스튜디오, 트론하임, 노르웨이
       고희안 신기운 2인 음악 비디오 퍼포먼스<_완성> 더 포지, 런던
       <런던 아트페어> 비즈니스 샌터, 런던
2012  <덧없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예찬 I> 갤러리 정미소, 서울
       <기계는 무엇을 구걸하는가?> 송원아트센터, 서울
       CJ E&M 센터, 서울산
       <로스트 앤 파운드> 한미갤러리, 런던
       <대안공간 루프 후원전> 대안공간 루프, 서울
       <아트쇼 부산 2102> 벡스코, 부산
       에드윈 갤러리,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뮤즈의 속삭임:영국의 6명의 작가들> 아트선재, 서울
       <현실 유지: 멀티미디어 재생의 시대의 한국작가들> 콜로라도 대학 미술관, 콜로라도, 미국
       <4482:한국의 지형도> 바지하우스, 런던
       <위치> CIT 웬더스포드 퀴 갤러리, 코크, 아일랜드
2011  <뮤즈 런던: 제4회 런던 한국작가전>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비디오+케스트> 아르코 미술관, 서울
       <아트 광주11:더블 데모크라시> 김대중 컨벤션센터, 광주
       <삼성 미디어 아트전:꿈_백야> 대구시청빌딩 프로젝션, 대구
       아트센터 나비, 서울
       <시간의 창>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미디어극장전> 갤러리 정미소, 서울
       솔로몬 아트레지던스_케이크 갤러리, 서울
       <융합> OCI미술관, 서울
       <거리만들기&좁히기> 3H+K갤러리, 포리, 핀란드
       <한국 디자인전> 디자인 박물관, 헬싱키, 핀란드
       <줄이기> 리즈 대학교 매츠 갤러리, 리즈, 영국
       <4482> 바지하우스, 런던
       <썰어보기_한국 현대미술전> ION 갤러리, 싱가폴

 

주요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시립미술관 / 대구시립미술관 / 부산시립미술관
쉐이크 크리에이티브 / 시몬스 / 벤타(미국, 한국, 독일, 중국)
아르코 미술관 / 중앙일보사 / 아모레 퍼시픽 / 한국영상자료원

 

수상
2012  SIA 미디어 아티스트 어워드, 서울
2010  불름버그, 뉴컨탬퍼러리 2010, 영국
2007  29회 중앙미술대전 대상

 

레지던시 프로그램
2013  갤러리 퍼플 스튜디오, 경기도
       라데몬 아트레지던스 프로그램, 트론하임, 노르웨이
2011  라우마스 레지던스 프로그램, 라우마, 핀란드
2010  개스트하우스, 코크, 아일랜드
2005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스튜디오 단기 입주작가

 

keewny@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