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전시명유리상자-아트스타 2021 Ver.3 강원제展
- 전시기간2021년 07월 16일(금) ~ 2021년 09월 26일(일)
- 관람시간10:00~13:00, 14:00~17:00(월요일, 추석연휴 전시 없음)
- 장 소아트스페이스
- 장 르설치
전시정보
봉산문화회관기획 | 전시공모 선정작가展
유리상자-아트스타 2021 Ver.3
강원제
From painting to painting
회화에서 회화로
■ 전 시 명 : 유리상자-아트스타2021 Ver.3 강원제展
From painting to painting(회화에서 회화로)
■ 관람일정 : 2021. 7. 16.(금) ~ 9. 26.(일) ※월요일, 추석연휴 전시 없음
■ 관람시간 : 10:00~13:00, 14:00~17:00, ※ 사전 예약제(053-661-3526, 3517)
※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하여 전시관람 사전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관람 시간 확인과 사전 예약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작가와 만남과 워크숍은 코로나19로 확산방지로 진행하지 않음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아트스페이스
■ 코디네이터 : 이정근 geunleestudio@gmail.com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트위터(@bongsanart)
전시 소개
봉산문화회관의 기획, 「유리상자-아트스타 2021」전시공모선정 작가展은 동시대 예술의 낯선 태도에 주목합니다. 올해 전시 공모에서 언급하는 ‘헬로우! 1974’는 1974년 10월부터 1979년 7월까지 개최된 “제1~5회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의 실험적인 태도를 기점으로 현재에 이르는 대구의 실험미술(Contemporary Art), 특히 설치미술의 일면을 소개하며 ‘다른 미술의 가능성’을 재고再考하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1974년에서 2021년으로 이어질 설치미술 관련 태도의 연결 기반이 ‘실험’과 ‘신체 행위’, ‘몰입’이며, ‘실험’적 태도를 생육해 온 서식지로서 여기, 지금 이곳을 다시 인식하려는 주제입니다.
유리상자의 전시 방식은 전시공간 밖에서 관람객이 안을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유리를 통하여 24시간 관람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항상 찾을 수 있는 도심 속 생활 예술 공간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 ‘유리상자’ 기획프로그램은 봉산문화회관이 시행하는 젊은 작가 지원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전시의 지속적인 변화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예정입니다. 봉산문화회관은 앞으로도 공공예술지원센터로서 시민과 예술인의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공모를 통해 참신하고 역량 있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며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2021 유리상자 전시공모 선정작 세 번째 전시, 「유리상자-아트스타 2021」Ver.3展에는 강원제(1984년생)작가의 ‘회화에서 회화로(From painting to painting)’를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지난 2020년도 11월 서류 및 인터뷰 심사에서 작가는 2018년에 제작된 형식인 부차적 결과(By-product)에 추가로 작업한 ‘선택되지 않은 그림(Unselected painting)’을 설치한 작품과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매일매일 그린 결과물을 기록한 과정인 러닝 페인팅(Running painting) 영상작업을 공모하여 회화가 물리적으로 소멸하는 과정을 설명하였고 이런 회화적 실험과 작가의 예술에 대한 지향점 및 태도에 대해 심사위원들의 좋은 평을 받았었습니다.
이번 전시에 구현된 작품도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본질인 그리는 행위에 다가서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수많은 평면 회화작품이 찢어지고 잘린 채로 파이프 구조물에 누더기로 걸린 설치작품과 공중에 공처럼 매달린 회화작품의 덩어리가 하나, 둘씩 떨어져 바닥에 나뒹굴거리는 장면을 연출하며 작품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연상케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작품 제작과정에서 탄생한 부산물이 또 하나의 작품으로 재탄생하는 반복과 순환의 메시지를 던져주며 여기가 끝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작가는 “그리는 행위에 집중하다 보니 그려지는 이미지는 중요하지 않다. 떠오르는 생각을 매일 표현함으로 인생에서 삶이 변화가 특별한 것처럼 그림도 변화와 특별함을 주고 싶다.”라고 말합니다. 작가는 습관처럼 매일 창작활동을 하면서도 새로운 재료, 다른 소재, 다양한 표현기법 등 크고 작은 도전에 마주하며 하나의 생각과 표현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반복과 지루한 행위가 아니라 매일 신선한 자극제로 그리는 행위가 지속 가능토록 하는 나름의 전략일지도 모르지만, 축적된 경험과 가치를 매일 쌓아가는 지난한 과정은 쉽지 않은 선택지일 것입니다. 또한, 작가는 그림을 남겨두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습니다. 작품을 분리하고 찢고, 자르고, 분해하고, 접착하며 각각의 작품은 회화에서 회화로 완성이 없는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모든 존재는 완결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의 과정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며 고정되고 안정된 법칙이나 도식을 찾기보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현상 속에서 늘 새롭게 생성되는 역동적인 변화의 세계를 추구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추론 형식에 따라 특정한 대상을 사유하기보다 서로의 관계속에 들어가 예술을 실현되는 ‘과정’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일 것입니다. 그 ‘과정’ 안에 현대문명의 ‘간접화’와 ‘가치전도 현상’으로 인해 가속화되는 자아의 불확실성을 내포하며 현재 사유의 가치가 미래의 절대적 가치가 아님을 작가는 반복적 예술행위로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 조동오
작가 노트
러닝 페인팅(Running painting)의 부산물(By-product)들은 선택된 그림(Selected painting) 시리즈를 지나 카오스모스(chaosmos) 연작으로 이어진다. 선택된 그림에서 잘려지고 남은 '선택되지 않은 그림(Unselected painting)'들은 더 작은 파편들로 해체되었다. '그림'은 이제 더 이상 처음의 그것이라 할 수 없는 무질서한 지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나는 해체된 파편들을 다시 캔버스 화면 위에 콜라주 하였다. 무질서한 파편들은 캔버스 위에 집적 되고 이들이 나름의 질서를 찾는 순간 또 다시 그림이 완성된다. 그렇게 그림은 그림에서 시작되어 그림으로 지속되며 과정과 결과의 경계는 모호해진다.
작가 / 강원제
작품 이미지
From painting to painting
1. NO.1621(Chaosmos), 220.3x177.4cm, mixed media, 2021
2. Unselected painting, 200x220x150cm, mixed media, 2021
3. NO.1823(Weighty painting), 43x31.5x21cm, mixed media, 2021
4. NO.1822(Weighty painting), 42x30.5x21cm, mixed media, 2021
5. NO.1821(Weighty painting), 9x8.5x5.5cm, mixed media, 2021
6. Chaosmos, 62x80x170cm, mixed media, 2021
7. Chaosmos(Total 30 pieces), each size different, mixed media, 2021
8. Running Painting, Video, 24min 48sec, 2015-2019
1. NO.1621(Chaosmos), 220.3x177.4cm, mixed media, 2021
2. Unselected painting, 200x220x150cm, mixed media, 2021
3. Chaosmos, 62x80x170cm, mixed media, 2021
4. Running Painting, Video, 24min 48sec, 2015-2019
Unselected painting, 200x220x150cm, mixed media, 2021 _ detail
작품 평문
순환과 반복: 프로세스 페인팅(Process Painting)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지나면서 회화의 개념이 완전히 달라졌다. 서구 전통회화가 환영(Illusion)을 추구했다면 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린 모더니즘에 접어들면서 회화는 그것의 매체적 속성인 평면으로 돌아 왔다. 환영에서 평면으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빛과 색과 형태가 대상으로부터 해방되었고, 현실을 모방하고 재현하던 그림은 회화적 공간과 회화적 현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 여정은 대상성이 사라진 추상이라는 중요한 기착지에 도달하게 된다.
전통회화가 무엇을 어떻게 그리느냐의 문제에 집착했다면 세계의 모방이라는 과제에서 해방된 모더니즘 미술가들은 대상이 사라진 회화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를 증명해야만 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1940년대 후반 특히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일부 모더니스트들은 완성된 결과물 대신 그리는 행위 그 자체에서 회화의 또 다른 가능성을 감지했다. 하지만 어떻게 행위만으로 회화적 정당성이 담보될 수 있을까? 결국 이들의 질문은 돌고 돌아 가장 근본적인 질문으로 되돌아왔다. ‘그림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이 질문은 작가 강원제의 작업을 이해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전시공간에 설치된 작품들은 모두 다섯 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사용 비계에 널려 있는 색 뭍은 캔버스, 그 옆 바닥에는 겹겹이 접합된 사각 캔버스 묶음들이 놓여 있다. 공처럼 생긴 다양한 크기의 캔버스 뭉치들이 바닥에 흩어져 있고, 공중에는 느슨하게 뭉쳐진 캔버스가 매달려 있다. 이것들은 다 무엇이며 각각의 작품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 모든 실마리는 전시장에 설치된 모니터 영상에 담겨 있다.
2008년에서 2011년 작가 강원제는 대상을 정밀하게 묘사하는데 몰입해 있었다. 오브제를 사진에 담고 그것을 다시 그리는 방식을 반복하면서 지루함을 견뎌야 했고 결국 방법론적 문제에 부딪히면서 작업은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2012년 선보인 ‘유기적 사물들(Organic object)’에서는 개별 오브제를 묘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사물들의 군집된 형식에 집중했다. 이때 작가의 생각을 지배했던 개념은 서로 다른 것들이 ‘마주침’으로 발생되는 ‘생명력’ 그리고 이를 통한 ‘생성’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이 이어져 ‘마주친 사물들(Encounter)’이라는 새로운 연작이 탄생했다. 얼마간의 공백기를 거친 미술가는 화가로서의 자기정체성에 의문을 품었다. 자기성찰의 시간을 가지면서 자신이 예술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을’그리는데 있지 않고 ‘그리기’ 그 자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어느 지점에 다다른 후 결과로서 취하게 되는 그림이 아니라 그곳을 향해가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그리는 행위 자체가 작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또 다른 실험을 감행한다. 그 회화적 실험을 기록한 것이 전시장에 함께 설치되 어 있는 영상이다.
‘러닝 페인팅(Running painting)’이라는 제목으로 시작된 그리기 프로젝트는 2015년에 시작되어 무려 4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러닝 페인팅을 진행하면서 지켜야할 원칙은 오직 하나, 매일 그리되 그리는 행위를 1초씩 영상에 담는 것이었다. 무엇을 그려야 한다는 자기 의무감으로부터, 특정한 주제 의식을 가져야 한다는 압박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냥 무엇이든 매일 자유롭게 그리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이다. “본 것, 경험한 것, 느낀 것, 상상한 것, 생각한 것 혹은 연습한 것, 실패한 것, 그리다 멈춘 것 등 모든 것이 그림이 되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남겨진 그림에는 무작위적인 이미지들만이 남았을 뿐이지만 결국에 작가가 획득한 것은 자유였다. 회화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였지만 사실 이 과정은 자기불안을 떨쳐 버리기 위한 최소한의 생존방편이었는지 모른다. 그렇게 축적된 4년간의 그리는 행위가 24분여의 영상에 담겨 있다.
2019년 돌연 미술가는 러닝 페인팅 종료를 선언했다. 그 이유는 뭘까? 시간이 지날수록 매일 그리는 행위가 의미 없는 루틴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때의 감정을 작가 스스로는 이렇게 드러낸다. “마치 마침표 없이 써 내려가는 듯 긴 문장의 무의미함”같았다고. 그렇다. 그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의미를 찾기 위해 진행된 반복된 행위에서 무의미를 마주하고 다시 의미라는 출발점으로 돌아 왔다. 그래서 스스로 마침표를 찍을 수밖에 없었다.
4년의 시간, 24분의 흔적. 그 사이 그림이라는 부산물이 남겨졌다. 미술가는 그 부산물 중 일부를 선택했고 이것은 ‘선택된 그림(Selected painting)’이 되었다. 선택은 불가분 선택되지 않은 부분을 낳게 마련이다. 그렇게 나온 것이 ‘선택되지 않은 그림(Unselected painting)’이다. 선택된 그림들은 이미지가 드러나지 않도록 겹겹이 접착했고 이것은 다시 ‘무거운 그림(Weighty painting)’이 되었다. 선택되지 않은 그림들은 죽은 동물의 가죽처럼 늘어져 비계에 걸리거나 더 잘게 조각나 뭉치로 바닥을 구르고 천장에 매달렸다. 하지만 선택된 것과 선택되지 않은 것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가?
강원제의 작업은 전체가 하나다. 현재와 과거, 결과와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강원제의 작업에는 종결된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의 종결은 또 다른 시작이기 때문이다. 생각의 순환과 반복, 행위의 순환과 반복. 순환과 반복 사이에 벌어진 좁은 틈이 다음 작업을 위한 발아점이 된다.
미술사학자 / 김석모
작가 프로필
강원제 姜元濟 Kang, Wonje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박사과정 졸업
영국왕립예술대학교(Royal College of Art), Painting, MA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석사과정 졸업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1 유리상자-아트스타 2021 ver.3 강원제, 봉산문화회관, 대구
2020 그림탈피, 갤러리 19.48, 서울
2019 Project Running Painting, ERD Gallery, 서울
2015 흐르는 그림, 사이아트 갤러리, 서울
단체전
2021 밀도, 밀접, 밀합, SAMUSIL, 대구
2020 Be True, 시안 미술관, 영천
무의미가 의미로 전환되는 순간, JJ중정 갤러리, 서울
Young Artist Project, EXCO, 대구
Metaphorically, Space BE, 서울
2019 Mimesis, 안성예탕, 의성군
Shattered Visage, Unlimited House, 런던
2018 The Great Artist, 포스코 미술관, 서울
Orbit Art Graduate, Barge House, 런던
Whipped Up, Kunstraum Gallery, 런던
2017 The Road Not Taken, Hospital Club Gallery, 런던
an Excuse, Square Gallery, 런던
레지던시
2020 시안 미술관 레지던시
kangwonje2023@gmail.com
www.kangwonj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