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문화회관

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일 ~

공연포스터
  • 전시명2012 GAP(GlassBox Artist Project)展
  • 전시기간2012년 03월 09일(금) ~ 2012년 03월 24일(토)
  • 관람시간10시~19시
  • 오픈일시3월 9일(금) 오후6시
  • 장 소3전시실
  • 작 가김미련
  • 장 르설치

전시정보


2012봉산문화회관기획


GAP(GlassBox Artist Project)展

 

 


 ○ 기    간 : 2012년 3월 9일(금) ~ 3월 24일(토)
 ○ 관람시간 : 10:00 ~ 19:00
 ○ 장    소 : 제 1~3전시실
 ○ OPENING : 2012년 3월 9일(금) 오후 6시
 ○ 작가와 대화 workshop : 
   3월  9일(금)  - 김철환, 조경희
   3월 16일(금)  - 김승현, 김정희
   3월 17일(토)  - 김미련, 장  미, 정재훈
 ○ 참여작가 : 7명(김미련, 김승현, 김정희, 김철환, 장미, 정재훈, 조경희)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협력기획 : 김옥렬(아트스페이스 펄 대표), 박소영(P.K 아트비전 대표)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081~2
          트위터(@bongsanart), 페이스북(bongsanart)




 작가와 대화 workshop


 김철환 : 내가 생산하는 것-참여자의 신체 각질과 분비물을 채취하여 수집?기록
     3월  9일(금) 오후 5시~6시 / 3층 제1전시실
     *대   상 : 일반인
     *내   용 : 전시기간 중 마련된 병에 관람객의 분비물을 채집 및 수집하여 기록며, 
          수집이 되는 모습이 전시된다. 이후 전시에 수집된 분비물로 작품을 구성한다.

 

 조경희 : 작가의 작품세계 프리젠테이션
     3월  9일(금) 오후 5시~6시 / 4층 제1강의실

 김승현 : 작가의 작품세계 프리젠테이션
     3월 16일(금) 오후 3시~4시 / 4층 제1강의실

 김정희 : 작가의 작품세계 프리젠테이션
     3월 16일(금) 오후 4시~5시 / 4층 제1강의실

 정재훈 : 프라모델 조립을 통한 “차원적 사고의 비밀”
     3월 17일(토) 오후 2시~4시 / 4층 제1강의실
     *대   상 : 초등학생이상
     *내   용 : 프로모델(비행기) 조립을 통한 2차원과 3차원의 경계에서 놀기
     *참가비 : 6,000원

 김미련 : 스캐너를 이용한 나의 일상 아카이브하기
     3월 17일(토) 오후 3시~5시 / 2층 제3전시실앞 로비
     *대   상 : 초등학생이상 
     *내   용 : 사양이 다른 스캐너를 이용하여 물건과 이미지를  변형, 왜곡시켜본다.
          다른 스캔이미지와 어우러져 어떻게 드러나고 변형되는지를 체험한다.
     *준비물 : 파일 보관용 USB

 장  미 : 목탄으로 그리는 나만의 공간 연출
     3월 17일(토) 오후 4시~5시 / 3층 제2전시실앞 로비 
     *대   상 : 초등학생이상
     *내   용 : 작가의 이전 목탄작업과, 이번 전시에대한 설명을 듣고,
          작가가 사용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나만의 공연을 연출한다.

 참가문의 : 053)661-3517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전시 소개 


『GAP』展

‘GAP(갭)’은 ‘다름’과 ‘차이’를 상징하는 ‘유리상자-아트스타展’의 새로운 프로젝트 GlassBox Artist Project의 이름이다. ‘공간의 틈’, ‘시간적 여백’, ‘차이’, ‘공백’, ‘사이’의 의미를 내포한 GAP은 유리상자를 열고 그 매력을 맛보는 사건의 요약이며, 이는 현대미술을 대할 때 ‘차이를 두고 그 다름에 빠지는’ 우리의 태도와 닮아있다.

‘유리상자GlassBox’는 봉산문화회관 2층에 위치한 전시 공간 ‘ART SPACE’의 별칭이며, 유리로 사방이 둘러싸여있고 보석같이 소중한 작품들을 담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유리상자로 불려진다. 유리상자 전시는 2006년 12월21일부터 시작된「도시 작은문화 살리기 프로젝트 - 유리상자」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었으며, ‘미술창작스튜디오 만들기’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젊은 미술가의 작업현장을 들여다보려는 작가지원 형태의 지속성 있는 실천이기도 하였다. 2007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6년째인 유리상자 전시는 ‘스튜디오’, ‘아트스타’라는 부제와 함께 진행되며, 4면이 유리로 만들어진 공간의 장소특수성을 기초로 하여 연출한 설치작품들은 패기 있는 신인작가의 힘과 열정을 느끼게 해준다. 이 전시의 주된 매력은 톡톡 튀는 발상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젊은 예술가의 실험적 사고를 가까이 느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유리상자의 지향을 한 단계 더 진전시켜, 이번에는 유리상자를 벗어나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는 장소에서 이들 작품의 매력을 맛보는 자리를 상상해보았다. 그리고 그 실현을 설계하면서, 청년미술에 대한 관심과 기획경험이 풍부한 외부 협력기획자(아트스페이스 펄 대표 김옥렬, P.K 아트비전 대표 박소영)를 초청하여 작가선정에서부터 기획?진행에 심도 있게 협의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유리상자-아트스타’를 통하여 소개되었던 30명의 작가 중 7명의 작가를 선정하여 다시 소개하고 지원하는 기획전시 GAP을 추진하게 되었다. 전시 주제는 유리상자를 벗어난 다른 공간이란 점에 주목하여 ‘유리상자를 열고 맛을 만나다!’라고 정하고, 1전시실에 김정희, 정재훈, 김승현, 김철환, 조경희, 2전시실에 장미, 3전시실에 김미련 작가를 초청하여 전시를 진행하였다.
김미련 작가는 2010년 Ver.6 Monumental Aircoat in Glassbox展(11.12~12.12)으로 소개되었다. 이번에는 싱글 채널 비디오 설치작업 ‘The Spatial Plants Ⅱ’를 통하여 대구와 독일의 거리에 자생하는 식물의 부분을 스캐닝하고 그 스캔 이미지로 제작한 영상을 실제 식물이 담겨진 화분에 겹쳐 투사한다. 투사 영상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자란 비슷한 이름의 식물이 지닌 친근한 듯 낯설고 새롭게 보이는 가변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이 가상의 이미지와 골목길 주변에서 발견한 50여개의 식물 화분의 겹침으로 ‘차이’와 ‘틈’을 제시한다.
김승현 작가는 2011년 Ver.7 House is not a home series -empty展(12.23~1.29)으로 소개되었다. 이번 전시에는 완성 작품만을 보여주는 기존 전시형식과는 달리, 1개월 정도 기간동안 매일 A4종이 위에 콤포지션 드로잉을 수련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미감과 창작 작업의 과정을 추적할 수 있도록 고안한 100장의 ‘Composition series-daily composition’작업을 선보인다. 이 작업은 완성에 관한 ‘여백’을 제기하고 시간에 관한 ‘차이’를 제안하며 ‘다름’을 생각하게 한다.
김정희 작가는 2009년 Ver.2 세제곱展(4.24~5.31)으로 소개되었는데, 유리상자 전시공간의 장소성이나 특징을 탐구하여 공간의 느낌을 전달하는 공간읽기 작업이었다. 이번에도 ‘공간읽기’ 작업의 연장선에서 1전시실 공간 한 켠의 기둥과 벽을 본뜨고 그 공간의 부피를 기하학적 형태로 덩어리화 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일상적인 공간을 새로운 성격의 공백으로 보이게끔 공간을 사물화 시킨다.
김철환 작가는 2011년 Ver.3 내가 생산한 것+사람들이 생산한것展(6.3~7.10)에 소개되었던 작가이다. 이번에도 작가의 신체 분비물인 비듬과 입술 각질을 채취하여 쇼케이스와 액자형식으로 진열하는 전시방식 ‘내가 생산한 것’으로 관객과 만나 시간의 차이와 예술에 대한 인식의 다름을 담론으로 형성한다.
장미 작가는 2011년 Ver.2 M Artist Room展(4.15~5.22)에 소개되었다. 이번에는 2전시실 공간을 음악과 그림이 어울리는 공연 소극장 같은 분위기로 연출한다. 금박종이 위에 새겨진 일상적인 삶의 이야기와 동심을 담은 낙서, 글쓰기, 드로잉을 결합하여 관람자를 둘러싼 환경으로서 ‘공백’ 공간을 선보인다.
조경희 작가는 2011년 Ver.5 Blindly展(9.23~10.23)에서 스타킹을 소재로 하는 작업을 선보였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갑과 가방처럼 무엇인가를 넣기 위해 만들어진 사물을 ‘욕망’으로 대상화하면서 저울과 의자를 함께 설치하여 욕망에 관한 이야기를 연출한다. 작가는 욕망의 시각적 기괴함과 또 다른 아름다움 그 사이를 드나들며 감성의 차이를 담론화 한다.
정재훈 작가는 2009년 Ver.7 White out展(12.11~1.17)으로 소개되었던 작가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무의식적이고 집요한 만들기 혹은 작은 파편 조각들을 조립하여 본원적인 구조 형태를 만드는 자신의 조각 작업을 통하여 작가의 노동 과정과 구조를 작업과 연결지으면서 삶과 현대미술의 사이, 그 차이의 기억들과 의미들을 질문한다.

예술은 생의 사건을 가치 있게 바라보는 GAP 영역이다. 이 전시에 힘입어 이제 다르게, 멈추고 돌이켜보고 생각하여 ‘차이’와 ‘다름’을 다시 담론하고자 한다.

 


전시기획담당 정종구





 비평글1 


밝고 투명한 상상의 장소
 
유리 상자는 바닥과 천장이외에는 사방이 투명한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공간의 특성상 안과 밖이 서로 투명한 시각의 상을 만들고 있기에 작품을 벽에 건다는 전통적인 방식이 제거된 상태에서 출발하는 장소다. 그래서 유리 상자에 도전하는 작가들은 장소에 대한 해석이 우선적으로 전제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투명한 유리 상자에 대한 작가적 해석에 따라 감상과 비평에 대한 평가의 경계가 보다 분명해지는 곳이다. 그래서 유리 상자는 창작과 감상으로 확장되는 상호작용을 통해 과정과 결과에 대한 실천을 구체화 시켜가는 장소특정성이 전제된 공간이다. 이런 점에서 유리 상자는 봉산문화회관의 꽃이라고 불릴만한 장소일 것이다. 이번에 새롭게 기획된 유리 상자 특별전인 GAP의 초대작가는 김미련, 김승현, 김정희, 김철환, 장 미, 정재훈, 조경희 이상 7인으로 구성되었다. 
김미련 - The Spatial Plants 2 삶의 방식과 작업의 방식이 개연성을 가질 때, 그 작품은 진정성을 획득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김미련의 이번 작품은 ‘개연성’을 통해 창작과 감상이 만날 수 있는 범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가 발견한 개연성의 의미는 같은 시기에 독일과 한국이라는 다른 공간에서 동일한 식물을 스캔한 이미지를 인터넷을 통해 파일로 교환해서 결합한 것이라고 한다. 한국에서 대학을 나와 독일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 문화적 토양의 차이에서 느끼는 거리감이 식물스캔을 통한 기록으로 재조명한 것이다. 그것은 실재와 가상을 사유하는 ‘차이의 체계’로 재구성되고 있다. 실재와 작가적 상상력이 결합되는 개연성의 지점인 김미련의 ‘특별한 식물’은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사유하는 포트레이 팩션(Portray Faction)이다.
김정희 - 색과 부피의 공간 빈공간이 갖는 부피(volume)의 개념을 ‘세제곱’의 로 보여주었던 김정희의 이번 설치 작업은 입체가 점유하는 공간과 부피의 관계를 제시한다. 이전의 작업이 유리 상자에 투명한 우레탄 비닐풍선으로 공간과 부피의 관계를 유기적인 방식으로 시각화 했다면, 이번 전시작은 2차원의 선과 3차원의 변형된 입방체에 강렬한 붉은 색으로 공간의 조건을 시각화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공간과 보이는 공간의 관계, 벽과 공간의 관계, 2차원과 3차원의 공간적 조건에 대한 시각화는 투명과 불투명, 평면과 입체로 공간을 그리는 그림이 된다. 붉은 선과 면 그리고 입방체의 결합, 그 사이를 관통하는 공간의 긴장감은 절제된 존재감으로 부각된다.
김승현 - composition series 김승현의 이번 전시는 언어적 요소를 회화적 질문으로 확장해가는 작업이다. 기본 틀은 ‘COMPOSITION’이다. 매일 매일 용지에 프린트된 ‘COMPOSITION’이라는 언어의 다른 면을 찾아 색을 칠하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의 작업적 태도는 서술적 행위가 된다. 이처럼, 김승현의 는 시간의 경계를 잘라 펼쳐 놓은 듯 일상의 반복을 통해 그리는 행위 자체의 의미를 재생산해 가는 것이다. 마치 ‘COMPOSITION’을 통해 ‘COMPOSITION’하는 언어와 그림의 관계를 시각화는, 이를테면 언어적 의미가 행위로 번역되면서 언어와 행위의 경계를 확장해 가는 지점으로 나아간다.
김철환 - 내가 생산한 것 김철환의 <내가 생산한 것>은 몸에서 떨어져 나온 것에 대한 한 순간의 성찰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몸의 각질이나 머리카락과 비듬 등에 관한 것이다. 신체를 사유하는 그의 방식은 그 자신의 몸에서 탈각된 피부의 껍질을 수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정성스럽게 복원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태도는 버려질 것에 대한 집착에서 수집된 오브제, 즉 몸에서 떨어져 나온 각질들을 모아 수집하고, 또 이를 정성으로 자르고 갈아서 색을 입힌 조각적인 진열장에 보관한다. 이 진열장은 작가의 욕망이 투영된 장소로 그 너머에는 안과 밖의 모순을 드러내는 하나의 기념비적인 보물에 대한 은유가, 새로운 욕망이 추상신체로 나아가는 장소가 된다.
장 미 - 17인의 참여와 공감 장 미는 이번 전시에서 SNS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자발적 참여를 시도한 설치물을 보여준다. 전시에 참여할 사람들에게 재료를 나누어주고 자신의 이야기를 글이나 그림으로 그리게 한다. 익명으로 참여한 17인의 일상의 단면이 담긴 금색의 반사면은 건축적인 벽으로 설치된다. 서로 다른 삶이 담긴 조각들이 하나의 공간에 설치되어 전시 이전의 익명의 사람과 전시를 보기위해 전시장을 찾은 감상자가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벽면에서 서로를 투영하고 동일한 시공간을 공유한다. 이 설치가 의미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를 참여와 공감으로 하나의 공간에서 만나게 하는 태도가 형식이 되는 작업이다.
정재훈 - 조형의 정교함 정재훈의 작업은 정교한 솜씨를 바탕으로 하는 노동의 산물이다. 그의 설치물은 정교한 솜씨가 주는 기능적인 요소와 반복된 통일성이 주는 미적 요소가 갖는 미묘한 경계에 있다. 그 경계는 나무 조형이 만들어 내는 형상성이 미적 감상의 대상을 넘어 모형이 갖는 정교함에 있을 것이다. 이점은 조형적 구조나 형태 그리고 정교한 부품이 그 자체로 감상이 될 수 있다는 시도의 참신성에 주목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의 정교하고 기계적인 나무 조형이 화판의 결과 나사 등을 활용해서 평면이나 입체 혹은 부분과 전체의 모습으로 재단된 기계적인 부품을 미적 감상의 요소로 변형해가는 정교함과 통일감이 주는 매력이 다양한 예술적 함의를 지니고 있어 기대를 갖게 한다.
조경희 - 욕망이 투영된 장소 설치를 위한 조경희의 시선은 스타킹이나 옷 그리고 하이힐 등 여성성을 상징하는 것들이 대대수를 차지한다. 그것은 자신의 결핍을 보충하고 보완해가는 매개물이자 상처와 억압의 연상 작용을 이끌었던 하나의 중요한 단서들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를 위한 소품인 의자, 저울 그리고 여행가방의 등장은 욕망이 투영되는 새로운 장소 내지 욕망과 욕망의 결합들로 인조 가죽과도 같은 껍질의 조각들이 바느질을 통해 결합되고 있다. 이 결합은 억압된 욕망에 대한 치유와 새로운 세계로의 갈망이라는 이중성, 깊이를 알 수 없는 검고 어두운 욕망의 그림자 이면에 밝고 환한 욕망의 실체가 채워지는 장소일 것이다.

 

아트스페이스펄대표 김옥렬






 비평글2 


유리상자’ 이야기

2007년 초부터 지난해 말까지 ‘Glassbox Artist Project’를 통해 30명의 작가가 각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였다.『GAP』은 이들 중 따로 선정된 일곱 작가의 작품으로 구성된 전시이다. 공백, 차이, 다름, 틈, 괴리 등의 의미를 지닌 gap이란 영어단어에는 부정적인 의미와 함께 그것을 완화하고 보완하는 여유, 여백, 관용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기도 하다.

 유혹의 공간, ‘유리상자’
 봉산문화회관 전시장 건물 외부는 가느다란 메탈 구조로 유지되는 유리로 처리되어 있어 건물의 외부와 내부가 하나로 연결되는 열린 공간이다. 이런 구조의 중심에 위치한 ‘유리상자’는 높은 천장으로 인해 비어있는 상태에서도 그 자체로 기념비적인 유리탑을 이루고 있다. 역동적이면서도 시적인 느낌을 주는 이 구조물은 늘 변화하는 하늘의 구름, 관람자의 움직임, 낮과 밤의 풍경을 반영시켜 이곳을 바라보는 모든 이로 하여금 각자의 꿈과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게 만든다.
 ‘유리상자’는 작가의 내밀한 작업실의 현상이었던 창조의 신비를 깨고 관람자와 함께 호흡하는 전시공간이다. 투명한 유리 공간에서는 작가가 작품을 설치하는 일련의 과정이 여과 없이 낱낱이 드러나게 된다. 예술작품을 완성된 모습이 아닌 구성과 설치의 과정에서 지각할 수 있다는 데 ‘유리상자’ 전시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창조의 역동성과 순환의 역사를 전시 공간과 시간의 한계성을 초월하여 관람자들이 볼 수 있게 한다. 
 관람자들은 건물 내부와 외부 테라스를 산책하다 ‘유리상자’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일별하게 된다. 어느 순간, 그들은 유리에 바짝 얼굴을 대고 그 안에 펼쳐진 전시에 몰입하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한다. 예술작품은 조명을 받아 마치 상자 속 보석처럼 반짝이며 관람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처럼 ‘유리상자’는 산책하는 여유로움 가운데 관람자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공간(attraction zone), 한 특별한 장소이다.

 인간극장
 2층과 3층의 세 전시실을 사용하는 전시『GAP』에 참여하는 일곱 작가의 작업을 관통하는 연결고리는 삶과 그것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라 하겠다.
 먼저 천고가 높은 2층 제3전시실은 김미련을 위한 공간이다. 에서 그는 스무 개의 화분과 함께 정면 벽면 전체에 영상을 프로젝션하고 있다. 3년 전부터 작가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식물을 스캔한 이미지를 중첩하는 방식의 스캐노그래피(scanography)나 영상을 통해 이주와 정주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지금은 떠나왔지만 그가 오랜 시간 생활했던 독일의 친구들로부터 주변의 식물들을 스캔한 것을 전송받고, 또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한 식물들을 스캔하여 두 이미지를 중첩시킴으로써 멀리 떨어져있는 두 세계가 서로 합류하게 한다. 늦겨울, 작가가 봉산문화회관 주변의 여러 장소를 다니며 수집한 화분의 식물들 중 일부는 생명이 다해 바스라지고 있지만 그 안에는 조만간 새싹이 틀 거라는 희망의 메시지가 응축되어 있다. 유영하듯 느리게 진행되는 영상 속 식물이미지는 뒤셀도르프와 대구의 간격을 좁혀준다. 작가에게 공간의 물리적인 이동은 중요하지 않으며, 동시에 어딘가 정주하고 싶은 작가의 소망은 역설적으로 유목적 사고를 통해서만 현실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장미는 3층 제2전시실을 아담한 소극장으로 변모시켰다. 정면 벽면은 나무와 식물, 새가 날고 있는 무대로 꾸며져 있다. 은 관람자들이 저녁에 소극장에서 공연을 보며 하루의 피로를 풀 듯 전시공간에서 쉬어가게끔 만든 작품이다. 작가가 선택한 유일한 재료인 미러 효과를 내는 두꺼운 금색종이 하나하나에 페이스북을 통해 작가와 소통을 원하는 각양각층의 열일곱 사람들의 이야기가 펜으로 새겨져 있다. 불특정 다수의 소통 수단인 SNS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는 기회이다. 금색은 배금주의가 팽배한 현실을 은유하는 매체이다. 삶의 애환이 담긴 이야기를 통해 예술에서 소통과 치유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가장 넓은 3층 제1전시실은 긴 구조의 공간으로 양측으로 자연광이 스며들어오게 전시공간을 구성하여 다섯 작가의 작품을 담고 있다.
 전시장을 들어서자마자 왼쪽에 김정희의 강열한 붉은색 기하학 형태가 시선을 자극한다. 작가는 비어있으면서도 차있는 물리적 공간의 역설적인 측면을 유희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전시장의 구조, 즉 벽면, 모서리, 기둥을 측정한 후 기하학적 덩어리로 재구성한 것을 배열하고, 라인테이프로 한 모퉁이에 네거티브 공간을 설정했다. 이를 통해 예술작품이란 공간 속의 대상인 동시에 그 자체가 공간을 이루는 존재임을 강조하고 있다.
 김철환에게 작품이란 바로 자신의 신체의 기록을 말한다. 그것도 끈질기고 지난하기만 한 기록이다. 그는 생명의 숨이 멈추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우리 몸에서 생성되어 성장하고 죽어 몸 밖으로 떨어져나가기를 반복하는 입술각질, 비듬을 이용하여 관능을 호소하는 입술을 만들고 무한한 갤럭시를 환기시키는 사진을 촬영했다. 이 두 개의 연작을 12개씩 전시장에 일렬로 나열하여 1년간의 자신의 삶을 충실하게 고증하고 있다.
 집중과 끈기는 정재훈의 작업세계를 지배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다양한 부품들을 수집하고 치밀한 도면을 세워 거기에 맞춰 일일이 손으로 조립, 공작하는 과정에서 작가는 아날로그적 감성과 노동의 신성함을 강조한다.
 조경희는 모조 가죽과 큰 여행용 가방의 파편들을 잇고 박음질한 구조물을 천장에서부터 늘어뜨리거나 낡은 저울과 함께 바닥에 둠으로써 채워질 수 없는 인간의 욕망과 욕심을 내려놓으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 삶의 전환기를 맞는 김승현은 자신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고 반영한 ‘daily training으로 명명한 드로잉을 선보인다. A4 용지에 COMPOSITION이란 단어를 하루에 한 장씩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힘든 환경에서도 결코 작가를 떠나지 않는 창작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다. 

 각자 예리한 통찰력과 다양한 방법으로 인간조건을 말하고 해학으로 세상사를 비틀기도 하는 일곱 작가들의 인간극장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흥미롭다. 또한 앞으로 ‘유리상자’를 통해 어떤 작가들이 새로운 작품을 펼칠지 궁금해진다. 공간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통해 미술가와 관람자 모두 궁극적으로 존재에 대해 성찰하도록 유도하고 미지의 세계를 향한 열린 사고를 추구하는 것이 ‘유리상자’ 전시의 의의라 하겠다.

 

P.K 아트비전 대표 박소영





 작가 프로필 및 전시이미지



김미련 Kim, Mi-Ryeon
독일 뒤셀도르프국립미대 학사,석사과정졸업, A.R.Penck마이스터슐러 사사,경북대 디지털미디어아트 박사과정

● 개인전
2011 “The spatial Plants, 주)독일한국문화원 코리아갤러리, 베를린, 독일
2010 “Monumental Aircoat in Glassbox 유리상자-아트스타, 봉산문화회관, 대구
2009 2009 올해의 청년작가초대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8 “before-after” 숙명여대 문신미술관 빛 갤러리 기획 초대, 서울
2007 “Remapping Worringerplatz”, 글라스하우스, 뒤셀도르프, 독일
   “moving Image”, 야누어 겔러리, 보쿰, 독일
2006 쿤스트투룸겔러리, 라팅엔, 독일
   “Remapping2”, 포룸 바써투룸, 메어부쉬, 독일
1997   예술마당 솔, 대구

● 수상
2009 대구문화예술회관-오늘의 청년작가상 수상, 대구
2008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작가선정, 서울
2003 독일 뒤셀도르프 러벌즈 변호사협회 작가후원상, 독일

● 레지던시 : 가창창작스튜디오4기(2008~2009)

 kimmiryeon@gmail.com    www.kimmiryeon.com


김미련IMG_2906.jpg
Installation View | The Spatial Plants 2




김승현 Kim, Seung Hyun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 개인전
2011 House is not a home-series empty / 봉산문화회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유리상자 / 대구
   Composition-series /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 영천
   Born-series season2 / 대안공간 싹 / 대구
   no reply / 수성 아트피아 뉴프론티어 아트스페이스 / 대구
   structure-series /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 청주
2009 Product-series fragile /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갤러리 7436 / 부산

● 레지던시
2011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4기 / 영천
2010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4기 / 청주
2009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 부산

 


김승현IMG_0484.jpg
Installation View | composition-series daily composition





김정희 Kim, Jung Hee
MA Fine Art University of Brighton. UK

● 개인전
2010 모퉁이&귀퉁이‘ artist run space 청주
2009 ‘세제곱’ 봉산문화회관 아트스페이스
2004 2회 개인전 Space129 대구
2003 1회 개인전 Space129 대구

● 단체전&기획전
2010  차세대 여성작가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2009  예술 공간을 점령하다. 대구 KT&G별관
   창작과 비평 4인 선정전. 대구 대안공간 지하
2007  Made in Daegu. 대구 봉산문화회관 3전시실
   Eight Cubes. 대구 cube C
   야외설치전. 대구 수성아트피아 / 작업실 들여다보기. 대구문화예술회관
2006  Conjunction 06. Birmingham. UK
   Navigate 2006. 대구 문화예술회관
2005  The Pundry. London. UK

 kay1975@hanmail.net
 

김정희IMG_0368.jpg
Installation View | 빨간 덩어리가 된 The Space




김철환 Kim, Chul Hwan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조소과 졸업

● 개인전
2011  내가 생산한 것+사람들이 생산한 것 展봉산문화회관, 유리상자 - 대구, 대한민국
2010  Creation by me 展 플레이스 막 - 서울, 대한민국
2009  당신이 생산한 것 展 작은공간 이소 - 대구, 대한민국
   내가 생산한 것 展 포아트 갤러리 - 성남, 대한민국
   내가 생산한 것 展 송은 갤러리 - 서울, 대한민국
   내가 생산한 것 展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 서울, 대한민국
2008  내가 생산한 것 展 소노 팩토리 - 서울, 대한민국
   내가 생산한 것 展 갤러리 빔 - 서울, 대한민국

● 단체전
    20여회

● 수상
2002  부산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참가 및 우수상 수상 부산 대한민국

 09artist@naver.com
 


김철환IMG_2873.jpg
Installation View | 내가 생산한 것

 




장 미 Jang mee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동대학원 재학중

 ● 개인전
2011 유리상자 아트스타전 / M- Artist room - 봉산문화회관
2010 Forest of reminiscence - 봉산문화회관

 ● 단체전
2011 Documen+A -space odyssay -청주
   Run, Run&Fun - 세계육상세계대회 - 대구
   Remembrance of Things Past - 동아미술관 -대구
2010 조각난 풍경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
   chronicle - 빛살 미술관 - 대구
   OVER THERE -스페이스 가창 - 대구
   5+5=∞ - 대안공간 지하 - 대구
2009 Cacophony V -분도갤러리 -대구
   ASYAAF -서울
   100Yong Artists Show - 엑스코- 대구

 mi0948@naver.com
 


장미IMG_3009.jpg
Installation View | M:m/m:M





정재훈 Jung, Jae Hoon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 개인전
2011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 기획 공모 선정’,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9 ‘유리상자 아트스타 기획 공모 선정’, 봉산문화회관, 대구
2008 ‘대안공간 싹 8th 작가 초대전’, 대안공간 싹, 대구

● 수상
2012 신진예술가 펠로우십 선정, 대구문화재단
2011 올해의 청년작가상 수상, 대구문화예술회관
2010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수상, 중앙일보

? 대구시 남구 대명동 2143-12번지 
koozii@naver.com
 


정재훈IMG_0274.jpg
Installation View | Do-raw-ing






조경희 Cho, Kyung Heui
영남대학교 조형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 개인전
2012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1  BAG-괜한 욕심, 한전아트센터, 서울
   Blindly-Glass Box Artstar, 봉산문화회관, 대구
2009  2009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展,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그 외 7회의 개인전

● 단체전
2011  채색된 욕망, 스페이스 15번지, 서울
   THE ARTIST BRAND展-디자이너와 아티스트의 차이, 가모 갤러리, 서울
   낯선 이웃展, 신미술관, 청주
2010  VISION & REFLECTION展-Are you happy?,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0 차세대 여성작가展,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9  창원아시아미술제 안녕하세요?(Hi, Asia), 성산아트홀, 창원
   占展-예술과 주술 리포트,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광주
   ASIA PANIC-제2회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젼,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그 외 다수의 단체전

● 수상
2009  2009 올해의 청년작가상,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레지던시 :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5기,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1기, 가창창작스튜디오 1기

 art2525@lycos.co.kr
 


조경희IMG_0431.jpg
Installation View | 무겁지만 내려놓을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