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전시명유리상자-아트스타 2019 Ver.2 정진경展
- 전시기간2019년 03월 29일(금) ~ 2019년 05월 26일(일)
- 관람시간09:00~22:00
- 오픈일시2019년 4월 4일(목) 오후6시
- 장 소아트스페이스
- 장 르설치
전시정보
봉산문화회관기획 | 전시공모 선정작가展
유리상자-아트스타 2019 Ver.2
「정진경,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전시 개요
■ 전 시 명 : 유리상자-아트스타2019 Ver.2「정진경,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展
■ 관람일정 : 2019. 3. 29(금) ~ 5. 26(일), 52일간
■ 작가만남 : 2019. 4. 4(목) 오후 6시
■ 워 크 숍 : 2019. 4. 27(토) 오후 3시
■ 관람시간 : 09:00 ~ 22:00, 언제든지 관람 가능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아트스페이스
■ 코디네이터 : 정민제 minje0525@naver.com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트위터(@bongsanart)
시민참여 워크숍
■ 제 목 : 나만의 시선을 표현해봐
■ 일 정 : 2019. 4. 27(토) 오후 3시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아트스페이스
■ 대 상 : 5세 이상 (미취학 아동 보호자 동반)
■ 준 비 물 : 1만원(에코백 1개 제공)
■ 참가문의 : 053-661-3526
■ 내 용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 풍경의 이미지들을 재미있게 드로잉 하고, 실크스크린(스텐실)을 활용해서 판화로 찍어본다.
전시 소개
봉산문화회관의 기획, 「유리상자-아트스타2018」전시공모선정 작가展은 동시대 예술의 낯선 태도에 주목합니다. 올해 전시공모의 주제이기도 한 '헬로우! 1974'는 우리시대 예술가들의 실험정신과 열정에 대한 기억과 공감을 비롯하여 ‘도시’와 ‘공공성’을 주목하는 예술가의 태도 혹은 역할들을 지지하면서, 동시대 예술의 가치 있는 ‘스타성’을 지원하려는 의미입니다.
4면이 유리 벽면으로 구성되어 내부를 들여다보는 관람방식과 도심 속에 위치해있는 장소 특성으로 잘 알려진 아트스페이스「유리상자」는 어느 시간이나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시민의 예술 향유 기회를 넓히는 데 기여하고, 열정적이고 창의적인 예술가들에게는 특별한 창작지원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공공예술지원센터로서 더 나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공모에 의해 선정된 참신하고 역량 있는 작가들의 작품 전시를 지속적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2019년 유리상자 두 번째 전시인 전시공모 선정작 「유리상자-아트스타 2019」Ver.2展은 판화를 전공한 정진경(1982年生)의 설치작업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입니다. 이 전시는 작가가 일상의 사물들을 바라보는 어느 시선이 어떤 메시지로 공감共感될 수 있을까에 관한 질문, 즉 일회성으로 소비하는 우리 시대의 일상 사물을 바라보는 선택적 시선을 선보이면서, 그 사물에 대한 일반성 너머의 가치를 바라보고, 그 가치를 시각적으로 소통하여 공감하려는 작가의 행위에 관한 물음과 해석입니다. 또한 이 전시는 지금, 여기의 일상 사물에 깃든 ‘시대성’과 ‘내적 응답’을 유리 공간에 담는, 그리고 자신이 선호하는 예술적 설계를 떠올리며 사물을 드로잉하는 작가의 신체행위가 시?공간적 상상想像과 공감의 흔적이 되게 하려는 설정設定입니다.
이번 전시는 자신의 드로잉 행위를 구조적으로 확장하는 지속적인 설계의 어느 과정을 사방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유리상자 공간에 담으려는 작가의 시도로부터 시작됩니다. 작가는 이곳, 6×6×5.5m크기 유리상자 내부공간에 대량 소비문화의 ‘시대성’을 기록하듯 일회용 생활용품들을 복제한 사물들을 매달았습니다. 이것은 페트병, 접시, 컵, 의자, 슬리퍼, 쇼핑 봉투, 비닐봉지 등 쓰다버린 사물들을 흰색 명주실로 캐스팅하여 실제 크기로 만든 입체 장치물입니다. 그리고 이 사물들이 있는 전시공간을 둘러싼 유리외벽에는 컬러 비닐시트로 단순하고 화려하게 디자인한 캔, 우산, 빨대, 플라스틱 통 등의 이미지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아마도 어느 상품의 거대한 포장 상자처럼 보여질만한 이 광경의 설명은 이렇습니다. 어느 순간, 작가는 편리하고 쉽게 쓰고 버릴 수 있도록 만든 일회용 플라스틱 사물들에 대하여, 외면하기가 아니라 오히려 정감을 느끼며 자세히 오랫동안 살펴보고 그 사물의 조형미에도 매료되어 타인과는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자신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2차원의 평면 회화를 해오던 작가는 그때부터, 부서지거나 버려진 일회용 사물을 통째로 또는 그 일부를 캐스팅하는 행위를 지속하게 됩니다. 어떤 사물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이를 캐스팅하는 행위, 더구나 명주실로 한 가닥씩 쌓아서 그 사물의 모습을 구축하는 행위는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흡사, 별것 없이 무심한 일상에서 특별한 가치를 찾아내는 ‘발굴’처럼 보입니다. 정성어린 관심으로 대상을 바라보며 연필로 선을 그어 대상을 그리듯이 구축하는 명주실 캐스팅이 어떤 상태의 흔적을 그리는 선묘 행위라는 의미에서 드로잉이 되고, 작가는 그 드로잉을 대상의 응답을 듣는 자신의 ‘다른 시선’으로 선택하였습니다. 또한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에 주목하여 작가는 자신의 ‘다른 시선’을 구조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시각’을 화려하고 세련된 색상의 컬러시트와 디자인으로 은유하였습니다. 눈에 띄도록 디자인된 ‘일반적인 시선’의 사이로 본질을 지향하는 ‘다른 시선’의 상징적 사물들이 보이도록 설계하면서, 4면의 여러 방향에서 외부 디자인과 내부의 사물, 건너편의 유리 벽 이미지, 그 뒤의 풍경 등 몇 개의 레이어가 겹쳐 보이며 관람자만의 다른 시선을 자각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전시실의 유리벽을 따라 움직이는 관람자의 시선에 의해 내부의 사물이 보였다가 사라지거나, 반대편 풍경이 다르게 보이는 이 상태는 사물과 사람과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들 각자의 ‘다른 시선’을 떠올리게 합니다. 전시를 준비하는 수개월의 기간 동안 흙속을 헤치고 유물을 발굴하듯이, 허공에 연필 선을 그어 사물의 형상을 생성시키듯이 작가는 자신의 느낌과 생각 속에서 ‘시대성’과 ‘내적 응답’을 포함한 지금의 전시설계 상태를 감지感知 하였습니다.
정진경의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행위는 일상의 현실 생활에서 예술적인 다른 시선의 경험을 감지하려는 몰입沒入의 흔적이며, 자신의 감수성과 직관 그리고 반복과 지속의 바라보기가 더해져 ‘입체 드로잉’이라는 상태로 남겨지고 이어서 허공에 그림을 그리는 ‘공간 드로잉’의 매력을 호출해내는 ‘내적 응답’을 감지한 충만의 기억입니다. 주변의 풍경과 환경으로부터 겹쳐져 새로워지는 드로잉의 레이어 찾기와 관객의 공감적 시선을 투영해내는 이번 유리상자는 생의 무심한 일상적 감성에서 나아가 그 본래적 가치의 충만을 기억하려는 동시대의 진술陳述과 미래 예견豫見의 스펙트럼, 또 예술적 경험 구조의 확장 제안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투명유리 안에 그려진 ‘바라보기’ 드로잉의 또 다른 가능성에 대한 기대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질문과 지향으로부터 신체행위를 통하는 스스로와의 만남과 관객과의 공감 혹은 유대의 경험으로서, 세상과 ‘소통’하려는 예술의 확장적 가치를 다시 그리게 합니다.
-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 정종구 -
작품 이미지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 명주실, 오공본드, 유리시트 / 가변크기 / 2019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 명주실, 오공본드, 유리시트 / 가변크기 / 2019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 명주실, 오공본드, 유리시트 / 가변크기 / 2019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 / 명주실, 오공본드, 유리시트 / 가변크기 / 2019
작가 노트
낡고 메마른 것, 가볍게 쓰이고 버려지는 것들에 관심이 있다.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있다.
여기 새하얀 명주실과 오공본드가 있다. 오공본드와 물을 2:3 비율로 혼합해서 준비한 다음 실을 한 가닥 한 가닥 펼친 뒤 그 위에 오공본드를 붓으로 천천히 발라준다. 실에 본드를 바를 때 급하게 하거나 충분히 발라주지 않으면 모양이 헝클어질 뿐만 아니라 건조 되면서 모양이 잡히지 않기 때문에 이리저리 잘 살펴가며 해야 한다. 한 층이 충분히 건조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음 작업을 진행한다(평균 24시간). 두 번, 세 번 겹쳐 붙여진 실은 견고한 모양으로 떠내어 진다. 굳어지는 과정에서 시간차이를 두고 작업을 하기 때문에 온도, 본드의 농도에 영향을 받아 조금씩 다른 굴곡을 만들어내고 미묘한 색 차이도 발생한다. 여러 조건에 의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로 만들어진 사물은 투박하지만 나름의 멋을 한껏 뽐내고 있다.
- 작가 / 정진경 -
작품 평문
선으로 구축한 사색의 공간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의 일상에서 나타난 변화 중에 하나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스타벅스와 같은 카페에서도 테이크아웃 하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고, 마트에서도 비닐백을 유료에 판매하며 각자 구매한 물건을 담아갈 가방을 챙겨오도록 하고 있다. 일회용 종이컵을 쓰지 않는 대신 자신의 텀블러를 가지고 다니며 마실 것을 담아서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얼마 전, 코에 깊이 박힌 플라스틱 빨대 때문에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거북이를 사람들이 구조하는 동영상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던 일이 기억에 남는다. 사람이 장비를 이용해 깊숙이 박힌 플라스틱 빨대를 빼내려고 애를 쓰지만 쉽지 않고, 거북이가 꽤 많은 피를 흘리며 고통스러워 한 후에야 겨우 제거할 수 있었다. 바다 속에는 우리가 버린 수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크고 작은 크기로 가득하다. 그리고 그것은 몇 세기가 지난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바다 속에 쌓여 있을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생태계 파괴로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진 동물들은 먹이처럼 보이는 쓰레기를 먹고 있다. 소화도 되지 않고, 썩어서 사라지지도 않는 이러한 인공물은 인류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다가 인류를 영원히 괴롭히게 된다. 플라스틱과 비닐을 비롯한 일회용품의 무분별한 사용과 폐기는 직접적으로는 동물들에게 악영향을 끼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스스로에게 해악을 끼친다. 그만큼 환경 문제는 다른 세상, 다른 시대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만큼 우리 코앞에 닥친 심각한 문제다. 이렇게 끊임없이 쓰레기를 생산해내다가는 정말로 쓰레기 더미 위에서 살아가게 되는 날이 곧 닥칠지도 모르는 일이다.
공간에 쌓아 올린 여러 층의 선들
대구 봉산문화회관 유리상자에서 소개되는 정진경의 <다른 시선-외면하지 않기>전은 일회용품의 무분별한 소비 행태에 관한 고찰을 담고 있다. 유리로 된 전시 공간 외벽에는 시트지를 이용해 화려한 색채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안쪽에는 실로 캐스팅한 오브제들을 전시한다. 작품에서 다루는 대상이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되어 전시장을 지나치는 관객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금방 인지할 수 있다. 작가는 쇼핑백, 캔, 봉투 등 우리 모두가 매일 사용하고 또 버리는 그런 대상들을 소재로 삼았다.
판화를 전공한 정진경은 기존에 일상적인 오브제를 대상으로 실크스크린 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는 무심코 지나칠 수 있을 법한 평범하고 일상적인 컵이나 접시 등을 대상으로 작품을 제작했다. 이 작업에는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법한 컵을 작가가 오랫동안 들여다보고 그 조형요소를 살피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러한 과정은 대상 자체의 비범함 때문이 아니라, 그 물건을 사용하고 또 소중히 여기는 사람의 마음에서 대상의 진정한 아름다움이 발견된다는 단순한 진리를 살피는 일인지도 모른다.
미술의 역사에서 정물을 그린 작품은 셀 수 없이 많다. 완벽하게 통제된 작업실 내에서 작가가 원하는 조도와 구도를 갖춘 채, 오랜 시간 들여다보고 고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럴 것이다. 정물은 모델처럼 움직이지도 않고, 바깥 풍경처럼 환경적 영향을 받지 않아, 작가 자신이 원하는 형식 실험을 온전히 펼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진경도 마찬가지로 컵, 포트 등의 대상을 다양한 표현방식을 활용해 시각화했다. <함께 먹습니다>(2013)에서는 우묵한 그릇과 젓가락 부분을 희게 남겨두고 그 배경을 보랏빛 펜을 이용해 평평하게 가득 메우는가 하면, <들여다 보자>(2011)에서는 연필로 여러 크기와 종류의 컵과 접시를 비교적 입체적으로 묘사하기도 했으며, <움직이기 시작하다>(2009)는 잔뜩 쌓아놓은 종이컵의 형상을 실크스크린으로 찍어낸 작품이다. 언급한 작업을 비교해봄으로써 비슷한 대상이라 하더라도 재료와 표현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얼마나 다른 감각이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2018년부터는 평면을 중심으로 다뤘던 작업을 3차원의 공간에서 구현해 보는 실험을 감행한다. 실제 오브제 위에 흰색 명주실과 본드를 한 땀 한 땀 붙여 캐스팅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정진경은 컬러실이나 철사, 굵은 실 등 여러 재료를 이용해 보았으나 마치 판화나 연필로 평면 위에 옮길 때 만들어지는 드로잉선의 느낌과 가장 흡사한 것이 흰색 명주실이었다고 언급했다. 명주실을 이용해 입체 작업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서 작가는 더 오랜 시간 해당 오브제를 관찰하고, 만지게 된다. 평면 위에 특정 공간을 얇은 드로잉 선으로 채워나가듯, 얇은 실로 한 줄씩 채워나가는 이 과정은 지극히 노동집약적이다. 작가는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작업실에 홀로 앉아 이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어쩌면 한 줄씩 실을 붙여나가는 행위를 통해서 평범하지만 소중한 것의 의미를 재확인하게 되는지도 모른다. 더 나아가 원래 물체의 색이나 질감을 흰색 실을 통해 중화시킴으로써 원래의 대상이 가진 성질을 없애고, 대상의 외형 자체에 집중하게 한다.
언뜻 보기에 백색의 단단한 오브제 같은 정진경의 작업은 속이 텅 비어있는 빈껍데기, 원래 오브제의 기능을 상실한 엷은 조각이다. 작품 제작의 과정은 드로잉선과 같이 작은 유닛으로 분해하여 재구성하는 과정 그 자체에 다름 아니다.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진, 연약한 이 조각 작업은 3차원의 공간에 쌓아 올린 정진경의 드로잉이다. 조심스럽게 쌓아 올려진 선은 작가의 손끝에서 조금은 삐뚤빼뚤한 결을 만들어내며 독특한 질감을 전달한다.
정진경의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또 다른 특성은 공간의 ‘비움’에 있다. 유리로 된 전시 공간의 내부는 기존 다른 판화 혹은 드로잉 작업에서와 유사하게 많은 부분이 비워져 있다. 대상의 디테일을 상세하게 묘사하지 않는 대신, 작가는 대상의 실루엣을 비워내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무언가를 더하는 것만큼이나 빼는 것의 결정 역시 많은 의미를 내포하는데, 유리 공간에서 보게 되는 빈 공간은 지나치게 많은 물건으로 가득한 소비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사색을 가능케 하는 시간과 공간을 제공한다.
환경 문제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이전에는 실 캐스팅을 한 대상이 숟가락, 접시, 신발 등 일반적인 일상 사물이었다면, 이번에 유리 상자에서 소개하게 될 작업은 플라스틱 의자, 비닐 쇼핑백, 페트병 등 일회용품이 많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음료를 다 마시고 버리려고 내 던져둔 찌그러진 페트병과 물건을 사서 담아온 비닐 쇼핑백은 형태도 흐트러지기 쉽고, 어찌 보면 그것의 역할, 기능이 다한, 버려지기 직전의 물건이다.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을 들여다보는 일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정진경은 일회용품을 소재로 선택함으로써 단순한 조형 실험을 넘어서서,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환경 문제에 관한 메시지를 관객에게 던진다.
비슷한 맥락에서 2003년 마가렛과 크리스틴 버트하임 쌍둥이 자매가 설립한 IFF(Institute For Figuring)에서 진행한 <쌍곡선 코바늘뜨개질 산호초 프로젝트(Hyperbolic Crochet Coral Reef Project)>를 떠올릴 수 있다. 과학자인 마가렛과 조형예술대학 교수인 크리스틴이 고안한 이 프로젝트는 쌍곡선 기하학, 지구의 기후변화와 글로벌 워밍, 지역에 따른 해양생물 등을 주제로 삼는다.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산호들을 뜨개질의 방식을 통해 재현해내는 작업이다. 또한 원하는 사람 누구라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까지 만 여명의 사람들이 참여해 뜨개질을 해 산호초 모양의 오브제를 만들었고, 여러 미술관에서 전시했다. 더 나아가 <독성의 산호(toxic reef)>는 비닐과 뜨개질을 섞어서 만든 것으로 더욱 직접적으로 인류의 소비에 대한 집착과 욕망을 비판한다.
예술의 힘은 대상이 가지는 조형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그 작품이 제시되는 사회의 상황과 맥락 하에서 특정한 메시지로 발현된다. 작가의 손을 통해 새로운 문맥을 입은 일상 오브제들은 쉬이 보아서는 놓치기 쉬운 대상의 본연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것을 통해 특정 이슈에 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 정진경의 작업에서 일상의 오브제를 활용한 형식 실험에서 환경 문제로까지 더욱 확장되어가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플라스틱을 비롯한 인위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진짜 같은 가짜의 세계에서 우리가 계속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떤 결정이 필요할까?
- 독립큐레이터 / 최정윤 -
작가 프로필
정진경 鄭晋敬 Jung, Jingyeong
홍익대학교 판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9 GLASS BOX ARTSTAR Ver.2 정진경,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7 너른 데서 핀(pin)하다, CR collective, 서울
2012 푸르름을 담다, 갤러리 온, 서울
2011 마주하다, 갤러리 아우라, 서울
2009 BELT선정 작가展,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단체전
2018 나른해서 건조한, 범어아트스트리트 윈도우, 대구
유니온 아트페어, 에스팩토리, 서울
제10회 아트로드77 2018, 헤이리 커뮤니티하우스, 파주
My first art piece, LPgallery , 파주
만디의 J (2인전), 예술공간 영주 맨션, 부산
제1준비운동, 공에도사가있다, 서울
아티스트 페어,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공간 & 소통,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사각사각, 아트팩토리, 서울
2017 봉산 뉴 아티스트, 봉산문화회관, 대구
정진경, 김소희 2인전, 신미화랑, 대구
한국판화사진진흥협회 PPAM2017-Fun Fun한 미술장터, 블루스퀘어복합문화공간네모, 서울
한국판화사진진흥협회 art edition2017, 유중갤러리, 서울
외 30회
레지던시
2017-9 범어아트스트리트(대구) 입주작가
작품소장
홍익대학교, 포항시립미술관, 미술은행
수상
2017 CR collective 전시공모 당선
2013 Shinhan Young Artist Festa 작가 선정
2009 ART EDITION 선정 작가
2008 The First International Print 입상
www.jung-jg.com
aria279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