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문화회관

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일 ~

공연포스터
  • 전시명2017 Hello! contemporary art Ⅰ - 권혁규·김형철·서상희展
  • 전시기간2017년 07월 21일(금) ~ 2017년 08월 19일(토)
  • 관람시간10:00 ~ 21:00
  • 오픈일시2017년 7월 21일(금) 오후 6시
  • 장 소1층로비
  • 작 가권혁규, 김형철, 서상희
  • 장 르설치

전시정보

 

봉산문화회관기획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 야외설치 1977로부터
Spot 1. 협력정원展 권혁규 · 김형철 · 서상희

 


  ■ 관람일정 : 2017. 7. 21(금) ~ 8. 19(토), 30일간
  ■ 작가와 만남 & 오프닝 : 2017. 7. 21(금) 오후 6시
  ■ 관람시간 : 10:00~21:00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1층 야외광장
  ■   획 : 봉산문화회관
  ■ 주    최 : 봉산문화회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주    관 :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 ■ 후   원 : 복권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트위터(@bongsanart), 페이스북(bongsanart)
    ※ 이 전시는 ‘문화회관과 함께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프로그램이며, 사업비 일부를 복권기금으로 지원받았습니다.

 


 전시 소개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야외설치 1977로부터

‘Hello! Contemporary Art’ 전시는 동시대성의 참조와 이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개별적 감성들의 시각적 축적을 선보이면서 세계 인식을 상호 연결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지난 2014년, ‘야생 서식지’를 떠올렸던 미디어아티스트 류재하와 조각가 이기철의 야외설치 전시를 시작으로, 야외광장에 비닐 물주머니를 설치한 홍순환과 나무 조각으로 조성한 실내정원을 선보였던 조각가 김성수로 진행했던 2015년 전시, 컴퓨터 부속품으로 사이버 야외정원을 설치한 리우와 영상, 소리, 미디어로 실내 협력정원을 조성한 권혁규, 김형철, 서상희 3인의 2016년 전시에 이어, 또 다른 ‘정원’을 상상하게 하는 올해 2017년 전시는 야외 공간 Spot1과 실내 전시공간 Spot2의 경계를 드나들며 대중을 향한 예술 소통 인터페이스의 확장과 우리시대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실험하려는 장이다.

이 전시를 지탱하는 권혁규?김형철?서상희의 ‘협력정원’과 박정기의 ‘정원’ 설계는 세계 혹은 우리 삶의 현재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마음껏 채집採集하여 기록記錄하고 공작工作하는 놀이마당으로서 ‘정원庭園’에 관한 것이다.

 

○ 권혁규  김형철  서상희의 설계 : 협력정원
<권혁규의 설계>
- 인조 잔디와 몇 가지의 오브제를 통하여 자연을 대체한 인공자연 환경을 영위營爲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설계한 권혁규 -

도시에 살고 있는 나에게 친숙한 자연은 손질된 나무, 돌, 흙, 물들로 구성되어 흐트러짐 없이 잘 정돈되어진 공원이나 여러 형태로 조성된 정원 공간들이다. 자연이지만 자연스러움이 결핍된 모습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실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모조품 같은 인공자연처럼 느껴진다.

 

생활 곳곳에 자연의 대체품들이 생겨나고 그것을 자연이라 믿고 영위하는 모습을 다감각적으로 표현하려한다. 가공 편집된 소리와 응축된 향기, 자라지 않는 인공잔디에 식물영양제와 스프링쿨러로 물을 공급하는 모순된 행위와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경고 메시지와 러버콘으로 과잉보호 속 통제된 모습은 우리가 자연을 영위하는 또 다른 방식 일지도 모른다.

-작가노트-

 

‘권혁규’의 작업은 자연을 가까이하려는 인간의 욕망과 이를 바라보는 시선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번 작업은 도시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친숙한 자연의 모습이 손질되고 정돈되어진 공원 혹은 정원의 자연이라는 점에 착안한 설정이다. 작가는 자연 상태의 초록 잔디를 모방한 플라스틱 인조 잔디(1600x700cm)를 봉산문화회관 야외 광장에 펼쳐놓았다. 그리고 그 위에 식물 영양제 100여개를 꽂거나, 스프링클러로 물을 뿌리거나, 확성기를 통한 ‘잔디를 밟지 마세요!’ 등의 소리와 플라스틱 러버콘(rubber cone)으로 외부인을 통제하며 과잉보호를 하는 상황의 연출인데, 이 상황은 마치 진짜 잔디를 가꾸는 착각이 들 정도로 분명 이상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도시 생활인으로서 인공자연을 가꾸는 우리들의 일상적인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또 잔디를 깔아놓은 광장의 한 쪽에는 물과 바람소리 등 자연의 소리가 들리고, 박수를 치면 소리를 내는 흰 새 2마리가 앉아있으며, 흰색의 테이블과 의자, 파라솔이 배치되어있어서 자연에서 충만감을 찾으려는 인간의 상황 설정을 시각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작가는 일상생활 곳곳에 자연을 대체하는 제품들이 생겨나고 그것을 자연이라 믿고 영위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려한다.

 

 

<김형철의 설계>
- 빛을 반사하는 장치를 활용하여 일몰 시간의 사라지기 아쉬운 자연광을 그늘이 드리워진 도시의 협력정원 구역에 비추려는 김형철 -

자연의 힘이라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모든 것에 적용이 되는 에너지라고 생각한다. 특히 사람은 자연 앞에서는 아주 미미한 존재라고 생각을 할 때가 많다. 날씨 때문에 감정이 변하고, 바다나 숲, 하늘을 보며 감정이 파도처럼 변하는 것이 인간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최대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살아가고 싶다. 구름이 변하듯이, 파도에 바위가 변하듯이 천천히 매순간 충실하며 살아가는 것.

 

내가 바라는 나의 모습 때문에 이번 야외전시에 해를 이용한 작업을 시도 하였다. 해가 뜨고 지는 것은 매일 누구나 똑같이 보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매순간을 소중하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시간을 흘려보내버리면 매일 똑같은 것조차 느끼는 건 어렵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죽기 전에 모든 것을 깨닫게 된다고 한다. 해가 산을 넘어 떨어져 사라지는 기분이 마치 모든 소중한 순간들이 끝나기 전, 어떤 태양빛보다 가장 깨달음을 주는 빛의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일몰의 태양빛은 나의 작업개념에서 일출이나 중천에 떠있는 해보다 더 의미가 있는 부분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나의 작업은 어떤 반복과 순환, 끝날 때까지 끝나지 않는 비슷한 반복과 순환의 형태에서 출발을 한다. 해가 동그란 거울을 통해 만들어주는 그림자 속(그늘)에 빛의 움직임은 정말 느리게 움직일 것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갑작스럽게 만들어지는 것보다 빛의 움직임처럼 느리게, 오랜 시간을 통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다.

-작가노트-

 

‘김형철’에게 미디어는 인간 삶에 관계하는 감정과 본능의 상태를 표현하는 매체로서 작용한다. 세상 모든 것에 적용되는 자연의 힘을 설치작업으로 연결하려는 이번 작업은 인간이 자연 앞에서는 아주 미미한 존재라는 작가의 생각과 경험적 명제를 반영하고 있다. 자연 환경의 상태에 의해 감정이 변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이러한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작가는 최대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살아가길 원한다. 미디어아티스트로서 자연 태양 빛에 의존하는 작업들에 대하여 생각하던 작가는 그늘진 장소에 태양 빛을 비추는 상상을 했고, 둥근 거울을 여러 개 사용하여 태양 빛을 반사시켜 건물에 가려서 생긴 그늘을 밝게 비추는 상황과 그 실천 행위를 설계하였다. 태양 빛을 반사시켜 그늘 속으로 옮겨진 태양 빛의 움직임은 훨씬 관찰 용이하고, 정말 느리게 움직인다. 작가는 세상의 모든 것은 이 빛의 움직임처럼 느리게, 오랜 시간을 통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전하려고 한다. 해가 뜨고 달이 지는 움직임처럼 태양에 의존한 이번 설치 작업은 1977년 강정 백사장에서 박현기 작가가 강변에 늘어선 포플러 나무에 횟가루를 뿌려 나무와 그림자를 역으로 그리는 작업을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건물의 옥상난간에 위치한 거울 구조물이 축이 되어 태양의 경로를 따라 빛을 반사해서 1층 광장 바닥의 권혁규와 서상희의 작업 주변 등에 빛을 보내주는 구조의 설치 작업이다.

 

 

<서상희의 설계>
- 빛에너지 집약형의 투명 ‘피라미드’ 에 갇힌 식물이라는 연출된 설정에 대한 관객의 선의의 개입을 요청하는 서상희 -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그 기술에 대한 감탄과 더불어 자연 또는 식물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는 것 같다. 어쩌면 디지털이 발전할수록 반대로 우리는 아날로그에 대한 감성을 본능적으로 그리워하며 좇아가기도 한다. 이전의 ‘가상정원’은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ue), 두 상반된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회화적 공간으로 연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OPEN_가상정원’은 기존의 작업인 ‘가상정원’을 야외로 가지고 나온 또 다른 버전이다.
자연적인 오브제인 식물(아날로그)과 투명성을 지닌 인공물인 ‘사각뿔’(인공, 디지털)을 결합한다. 사각뿔은 내가 만든 인공의 공간이다. 이는 형태적인 면에서 디지털, 인공적인 느낌을 더욱 가미해주면서 식물이 가진 자연성과 상반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밖으로 가지고 나온 인공의 공간은 실제의 식물을 그 안에 넣어 가상정원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 및 객체가 된다. 다양한 높이의 객체들이 모여 열려진 야외버전의 가상정원을 형성한다. 하지만 야외의 뜨거운 햇빛 아래, 가상정원에서의 인공사각뿔은 식물이 살아가기에 어려운 공간이다. 관람자는 비닐로 설정해놓은 가상정원의 범위 안에 들어와 직접 식물과 사각뿔을 결합시켜 객체를 만들 수 있으며, 또는 식물을 가꾸고 살리기 위해 물을 주거나 사각뿔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행위들을 통해 ‘OPEN_가상정원’을 관람자들이 직접 가꾸고 보살핌으로 내가 설정한 정원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서 진정한 협력정원을 이루게 된다.

 

※ 관람객의 참여 : 물뿌리개가 3개 있으며 / 원하는 식물에 직접 물을 줄 수가 있다. / 식물+사각뿔(각각 연결해놓은 짝들이 있다), 각각끼리 연결해놓은 식물에 사각뿔을 덮거나 열 수 있다.
※ 도슨트에게 부탁할 것: 수시로 식물에게 물을 주세요(식물이 말라죽지 않게…)./ 관람객이 사각뿔을 식물에 덮을 때 식물이 꺾이지 않게 잘 봐주세요.

-작가노트-

 

‘서상희’는 야외광장의 일부에 인공정원이라고 할 수 있는 회화적 공간을 연출한다. 이는 자연과 인공의 상태가 공존하는 세계의 모습, 또 디지털 기술이 발전할수록 그리워지는 자연 또는 식물에 대한 관심과 아날로그 감성에 관한 작가의 서술이다. 이제까지, 작가의 가상정원 작업은 디지털과 아날로그, 두 상반된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하는 것이다. 이번 야외설치작업 ‘OPEN_가상정원’은 기존의 작업인 ‘가상정원’을 야외로 가져나오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인공적인 빛 대신에 투명성을 지닌 피라미드 형 인공구조물과 식물을 결합한다. 인공적인 에너지 집약형 피라미드 구조 안에 아날로그와 자연, 생명을 상징하는 실제의 식물을 넣어 실체인 듯 실체가 아닌듯한 정원을 구성한다. 무더운 대구의 7~8월은 식물의 생장에 열악한 환경이다. 게다가 작가가 제시한 피라미드형 인공구조물은 바람이 적게 통하고 열기를 머무르는 등 식물을 불편하게하고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에 처하게 한다. 이러한 환경적 상태에서 작가는 관객에게 참여형 설정을 제안한다. “당신이 원한다면, 식물을 덮고 있는 피라미드 인공구조물을 식물로부터 분리시켜 신선한 공기가 통하도록 하고, 식물에게 물을 주며 식물과 사랑의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작가는 관객이 수행하는 두 개 공간의 결합에 대하여 실험을 설계한다.

 

이들 3가지의 에너지가 상호작용하는 상태를 우리는 ‘협력 정원’이라고 설정하였다. 3인의 미술가가 이 ‘협력 정원’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태도와 행위는 조화 혹은 혼돈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생명감 넘치는 세계의 생태 환경의 규칙과 인간이 함께 살아 움직이는 과정의 전율하는 모습일 수 있다. 미디어를 통한 이러한 일체의 실험은 세계 모습의 일부를 반영하는 인위적인 ‘정원’의 한 양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과 동시대 미디어 사이의 관계 설정, 관객과의 공유, 상황 몰입 등의 실험은 40여 년 전, 이 지역을 생육지生育地로 여기는 동시대미술에 대한 기억과 겹쳐지면서 지금의 미술에 대한 논의를 제안한다.

 

이번 전시에서 언급하는 ‘정원’의 기억은 1977년 4월30일 시민회관에서 개최된 “제3회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전시의 야외 특별 전시로 5월1일 진행했던 ‘낙동강 강정 백사장’에서의 해프닝, 이벤트를 기점으로 현재에 이르는 대구의 실험미술(Contemporary Art), 특히 야외 설치전시의 일면을 소개하며 ‘자연’과 인간의 ‘예술 행위’가 만나는 의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박현기가 강변에 늘어선 포플러 나무 몇 그루의 그림자를 횟가루로 그린 ‘무제’는 오랜 시간 보존할 수 있는 캔버스 그림보다는 비바람과 사람들 발자국으로 쉽게 지워져 버릴 그림의 생명이 더욱 강렬할 것이라 생각하는 작가의 태도를 반영한다. 또 이강소가 넓은 모래 바닥에 구두를 벗고 상의와 넥타이, 와이셔츠, 양말을 일렬로 벗어 놓은 채 직경 5m의 모래성을 쌓아 올린 작업도 일상과 다른 자연의 상태에서 다른 차원의 시각과 상황을 경험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시는 지금, 여기로 이어지는 설치미술 관련 태도의 연결 기반이 ‘실험’과 ‘자연’, ‘신체행위’, ‘몰입’이며, ‘실험’을 생육해온 서식지 ‘정원’으로서 장소를 다시 기억하고, 1977년의 야외 실험정신과 당시 미술가들이 전시공간의 경계를 확장하여 대중과 함께하려는 시도에 관한 현재적 연결성을 가늠하고,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우리시대 실험미술가의 ‘태도’를 돌아보려는 기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할 권혁규 ? 김형철 ? 서상희, 박정기의 태도는 세계와 인간 정서에 대한 관찰, 관객 참여, 놀이, 자연성自然性의 은유, 그 사이에서의 부조리不條理를 꿰뚫는 직관적 인식을 시각화하여 동시대미술의 소통 가능성과 지평을 확장시키려는 탁월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가의 작업 설계와 놀이에 대한 공감 시도는 과거에 이어 새롭고 명확해질 동시대의 어떤 순간을 위한 우리의 ‘Hello!’일 것이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정종구

 

 

 작품 이미지

 

권혁규 가상공원Virtual Park_인조잔디, 러버콘, 스프링클러_1600x700x240cm_2017


김형철 Highlight_Steel & Mirror_150x100x180cm_2017


서상희 OPEN_가상정원virtual garden_식물, 혼합재료_가변크기_2017

 

 

 참여작가 프로필

권혁규 /  權赫圭 / Gwon, Hyeok-gyu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전공 졸업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아트학과 석사과정 수료

 

개인전
2016 The Data escape project part1-DATA sheet, 중앙갤러리202, 대구
      Motion:Sound Room, 비영리전시공간 싹, 대구
2015 Virtual sound project, 봉산문화회관, 대구

 

단체전
2017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야외설치 1977로부터 spot2, 봉산문화회관, 대구
      뮤지비션-노래하는 사물,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대구예술생태보감,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16 도시의 산책자_공통도시.기억.생태,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Colorful convergence,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Hello! contemporary artⅡ 권혁규?김형철?서상희, 봉산문화회관, 대구
      미디어풍경-interactive media art & kinetic art, GS칼텍스 예울마루, 여수
      Co-Work,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2015 Interkinetic:머무르지 않는, 북성로 (구)소금창고, 대구
      강정 대구현대미술제-강정, 가까이 그리고 멀리서, 강정 디아크, 대구
      인 대구 미디어 파사드 2015,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4 9 to 9, 스페이스9, 대구
      Colorful convergence-Collaboration : now,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3 Global E-fun 게임아트전,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디지털미디어아트전, 경북대학교 박물관, 대구

 

참여프로젝트
2016 디지털 지신밟기 미디어 포퍼먼스공연<아람쌈쌈>,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2015 공연<불순한 공연> 미디어퍼포먼스, 무용수 안경미와 콜라보레이션, 가창스튜디오
2015 공연<삼색사음>, 테크니컬 디렉터로 참여, 봉산문화회관, 대구

 

레지던시
2010 대산미술관, 창원

 

수상/선정
2017 대구문화예술회관 올해의 청년작가 선정
2016 대구문화재단 청년예술가육성지원사업 선정

--savatage--@hanmail.net

 


김형철 / 金炯徹 / Hyung Chul, Kim
경북대학교 미술학과 조소전공 졸업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조소전공 재학

 

개인전
2013 The illusion grove, 아트스페이스 숲, 가창
2011 Media holic, 진화랑, 서울
      Movement, 게이트, 대전

 

단체전
2017 2017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야외설치 1977로부터 spot2, 봉산문화회관, 대구
      아름다운선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오프닝, 무용, 국악, 패션쇼) 영상, 서울, 메이필드 호텔
2016 서울 패션위크, 이상봉 x Kwave 오프닝영상, Kwave 사옥, 서울
       평창올림픽 홍보 미디어파사드 기술감독, KT광화문 사옥, 서울
       in Daegu, 미디어파사드 기술감독 및 참여작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Hello! contemporary artⅡ 권혁규?김형철?서상희,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5 in Daegu, 미디어파사드 기술감독 및 참여작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4 서울 패션위크, 이상봉 패션쇼 오프닝영상&음악감독,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서울
2013 현대백화점 미디어파사드 참여, 본점&무역점, 서울
      BMW4 시리즈 한국 런칭 오프닝영상, 미메시스뮤지움, 파주
      한국-오스트리아 국가수교50주년행사 무대&영상&음악 감독, 국립예술사박물관, 빈, 오스트리아
      한국-스위스 국가수교50주년행사 무대&영상&음악 감독, 크라운프라자, 취리히, 스위스
2012 파리 패션위크, 이상봉 패션쇼 오프닝무대&영상 제작, 그랑팔레, 파리, 프랑스
      YAP, 12 메타제국, 엑스코, 대구
2010 카코포니6, 분도갤러리, 대구

 

chazleskim@gmail.com
vimeo.com/Chazles
instagram.com/Chazleskim

 


서상희 / 徐尙希 / Seo Sang Hee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아트학과 박사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및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6 가상정원,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5 범어아트스트리트 커브2410 Rhythm of Drawing_우주, 식물 그리고 집,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2013 GLASS BOX ARTSTAR Ver.5 서상희,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2 GrandFather's House, 봉산문화회관, 대구

 

그룹전
2017 2017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야외설치 1977로부터 spot2, 봉산문화회관, 대구
      Art without Man,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6 Re-familiarization,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6 컬러풀 컨버전스,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Hello! contemporary artⅡ 권혁규?김형철?서상희, 봉산문화회관, 대구
      예술가의 숙제,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청출어람, 갤러리 H, 대구
      경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전시회-70년의 전통<70년의 전망>,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5 텐토픽아티스트페스타-공간역전,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사이=’, 비영리전시공간 싹, 대구
      집에 식물 이ㅆ슈?, A-쉼(무빙아트웍스 사회적협동조합 전시장), 대구
      To My Family, 현대예술관 전시실, 울산
      2015GAP(Glassbox Artist Project), 봉산문화회관, 대구
      Pentagon, 갤러리 선, 대구
2014 컬러풀 컨버전스 collraboration,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Dynamic Place(다이나믹 플레이스),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2013 project B gallery 신진작가기획-생활의 발견,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2010 작은공간 이소 나누기 프로젝트-공작노리터, 대안공간 이소, 대구

 

레지던시
2015 대구예술발전소 텐-토픽4기 입주작가 ‘트라이파드’

 

artheeri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