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SAN
CULTURAL CENTER
전시일정
전시
전시일정
전시검색
- 전시명기억공작소 - 안수진
- 전시기간2015년 09월 04일(금) ~ 2015년 11월 01일(일)
- 관람시간10:00~19:00 (월요일, 추석연휴 9/26~9/29 휴관)
- 오픈일시2015년 9월 4일(금) 오후 6시
- 장 소4전시실
- 작 가안수진
- 장 르조각
전시정보
봉산문화회관기획 | 2015기억공작소展
안수진 - 그림자
작업자 The Worker, 320×2100×60mm, 나무, 모터, 전자제어장치, 동판, 2015
■ 제 목 : 2015기억공작소 - 안수진展 「그림자」
■ 관람일정 : 2015. 9. 4(금) ~ 11. 1(일), 59일간
■ 작가와 만남 : 2015. 9. 4(금) 오후 6시
■ 워 크 숍 : 2015. 9. 8(화) 오후 2시
■ 관람시간 : 10:00 ~ 19:00, 월요일 및 추석연휴 9/26~9/29 휴관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제4전시실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트위터(@bongsanart), 페이스북(bongsanart)
워크숍
제 목 : 안수진의 작품세계
일 정 : 9월 8일 화요일 오후 2시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4전시실
대 상 : 일반시민
참가문의 : 053)661-3526
내 용 : 작가의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 관객과 대화
전시 소개
기억 공작소Ⅳ『안수진』展
‘기억 공작소(記憶工作所, A spot of recollections)’는 예술을 통하여 무수한 ‘생’의 사건이 축적된 현재, 이곳의 가치를 기억하고 공작하려는 실천의 자리이며, 상상과 그 재생을 통하여 예술의 미래 정서를 주목하려는 미술가의 시도이다. 예술이 한 인간의 삶과 동화되어 생명의 생생한 가치를 노래하는 것이라면, 예술은 또한 그 기억의 보고(寶庫)이며 지속적으로 그 기억을 새롭게 공작하는 실천이기도하다. 그런 이유들로 인하여 예술은 자신이 탄생한 환경의 오래된 가치를 근원적으로 기억하게 되고 그 재생과 공작의 실천을 통하여 환경으로서 다시 기억하게 한다. 예술은 생의 사건을 가치 있게 살려내려는 기억공작소이다.
그러니 멈추어 돌이켜보고 기억하라! 둘러앉아 함께 생각을 모아라. 우리가 인간으로서 지금껏 우리 자신들에 대해 가졌던 전망 중에서 가장 거창한 전망의 가장 독특한 해석과 그들의 다른 기억을 공작하라!
또 다른 기억, 낯선 풍경을….
그러고 나서 그런 전망을 단단하게 붙잡아 줄 가치와 개념들을 잡아서 그것들을 미래의 기억을 위해 제시할 것이다. 기억공작소는 창조와 환경적 특수성의 발견, 그리고 그것의 소통, 미래가 곧 현재로 바뀌고 다시 기억으로 남을 다른 역사를 공작한다.
「낯선 움직임」
하나. 전시장 입구 좌측 벽면에 두 개의 붉은 색 나무문이 문틀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문중에서 어느 한 문이 열렸다가 닫히면, 몇 초 뒤에 다른 문이 열렸다가 다시 닫힌다. 가끔은 두 개의 문이 동시에 열렸다가 화들짝 놀라며 재빨리 닫히기도 하고, 문이 조금 열렸다가 다른 문이 닫혀있는지 확인한 듯 다시 문이 활짝 열리고 닫히는 상황들이 반복적으로 연출된다. 예민한 심리적 감수성을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한 움직임으로 담아낸 이 ‘2doors’는 개인적인 삶의 공간과 폐쇄적인 아파트 생활에 익숙한 현대인이 이웃한 옆집을 대면하는 현장의 심리적 시간과 주변을 더 의식하는 강박적 순간을 시적으로 함축한 작업이다.
둘. 그 우측 옆, 전시장 바닥에는 수평과 수직의 기준을 과시적으로 적용한 평행봉 형태의 낯선 기구와 그 위로 촉수를 가진 제어장치 뭉치가 쉴 새 없이 구르는 ‘관성의 평균대平均臺’ 작업이 있다. 앞뒤 구르기를 반복하고 어느 순간 정적인 평형 상태에 이르렀다가, 긴 촉수를 움직여 무게 중심을 바꾸는 자체 반동의 도움닫기 동작으로 평형을 깨고 방향을 바꾸어 다시 구르기를 시작한다. 이 평균대는 삶의 균형과 변화의 순간을 위해 애쓰는 인간을 떠올리기도 하지만, 강제된 평등과 균형을 깨고 변화하려는 찰나의 물리적, 심리적 시간에 관한 움직임을 시각화하고 있다.
셋. 시선의 정면 벽에는 자기 신장의 세배가 넘는 크기의 짐을 들고 걷는 사람을 형상화한 ‘작업자’가 있다. 이 작업자가 옮기는 높고 큰 짐은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약 4도정도 앞뒤로 번갈아가며 기울어지기를 반복하는데, 들고 있는 짐이 자신의 뒤편으로 기울어지면 작업자는 뒷걸음질을 하고, 짐의 무게가 앞으로 기울면 작업자는 앞걸음을 걷게 된다. 현실 삶 속에서의 균형을 떠올리기도 하지만, 넘어질 듯 말듯 아슬아슬한 찰나의 시간에 대하여 관람자도 자신의 심정인양 일체적 상황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연출한 작업이다.
넷. 또, 우측 벽면에 밀착된 두 개의 판을 겹친 조각 작업 ‘시간의 변주-쌍둥이’는 관람자의 시선 반대편 벽에 설치된 조금 더 큰 ‘시간의 변주’와는 크기와 개수가 다르지만 동일한 개념의 키네틱아트이다. 실제로는 상하로 설치된 2개의 사각형 검은 그림자 판이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관람자의 눈에는 검은 그림자 위에 같은 크기로 덧씌워진, 벽색과 동일한 흰색 판이 그림자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듯, 혹은 관람자의 시선방향이 달라지는 듯 착시를 일으킨다. 이동하는 주변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듯이 보이는 대상의 착시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관람자의 고정된 위치가 움직이듯 느껴지기도 한다. 작가는 흰색 판 아래의 변화하는 그림자 두께의 움직임을 통해 착시와 공간차원이 변화하는 시간 그물망 층의 중첩 구조를 설명한다.
다섯. 그 옆 벽면에는 철선으로 만든 지름60센티미터 정도의 원형 링 두개를 일부분 서로 겹치고, 그 사이에 작은 모니터를 설치한 ‘교집합 다리’가 있다. 모니터에는 교량과 교량 위를 건너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보이는데, 벽면에 설치한 두 개의 원이 겹쳐진 교집합의 위치와 교묘히 일치된 영상 속 교량의 중간지점에는 다른 시공간 차원이 있는 듯 좌우의 어느 방향에서든 그 지점에서 사람들이 걸어 나오거나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이 움직임은 집단으로부터 소외라는 불안을 회피하기 위해 안전한 교집합 그룹을 선택하는 현실 삶의 순간적인 시간들을 다룬다.
「시간을 보는 조각」
안수진의 키네틱 아트는 우리가 대면한 삶의 현장성 있는 서사敍事 구조를 보여주는 시공간적 장치이다. 전시 공간에 구축한 5개의 시적詩的 장치들은 최근 그가 주목하고 있는 조각에서의 ‘시간’을 ‘움직임’과 함께 구성한, 우리의 감수성을 압도할 정도로 예민하면서도 생명력 있게 움직이는 힘의 이미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시간과 무관해 보이는 3차원 공간의 입체를 다루는 조각에서, 작가가 작업의 중요 요소로 인식하는 ‘시간’은 움직임이라는 물리적 운동을 순열 속의 작동 원리로 해석한 정교한 이미지이며, 조각에 덧입혀지는 살아있는 현장 현실의 ‘시간’이고, 조각을 통해 시각화하려했던 순수한 ‘시간’이다. 그것은 키네틱 조각의 ‘움직임’에 대하여 무수히 많은 시간 그물망들의 중첩으로 인식하는 ‘시간’의 이해이기도하다. 이번 기억공작소의 ‘낯설게 말하기’는 움직임을 시간의 중첩으로 인식하는 작가의 ‘태도’이다. 특히, 시간의 흐름을 잊을 정도로 대상과 관람자가 몰입하는 일체적 상황의 순간들이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그 두께로서의 시간을 인지하는 작가의 낯선 태도이며, 이러한 태도는 낯선 키네틱 아트의 모습으로 우리 앞에 기억되는 것이다.
작가의 이번 전시 ‘그림자’는 시간을 조각의 움직임에 반영함으로써 시간의 모습을 드러낸다. 이는 세계와 인간, 역사, 삶, 사건의 현실 상황을 포함하는 그의 다른 조각 작업과 마찬가지로 근원적 ‘구조’를 밝히려는 ‘태도’이며, 너무나 친숙한 ‘일상’의 현실로부터 다시 기억하는 낯선 ‘움직임’으로서 우리 자신의 태도들을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정종구
작품 이미지
시간의 변주-Rm-001 Variations of the time–Rm-001
550X550X35mm, 스테인리스스틸,철,스텝모터,전자제어장치 등, 2013
좌로부터
1. 2 doors, 1050×290×75mm, 나무, 모터, 전자제어장치 등, 2015
2. 관성의 평균대 Blance beam of inrtia, 2000×1400×300mm, 나무, 모터, 스테인리스, 수평계, 제어장치, 2009
3. 작업자 The Worker, 320×2100×60mm, 나무, 모터, 전자제어장치, 동판, 2015
4. 시간의 변주-쌍둥이 Variations of the time – twins,
300×670×45mm, 스테인리스스틸, 철, 스텝모터, 전자제어장치 등, 2013
5. 교집합 다리 Intersection of Bridge, 740×400×180mm , LCD모니터, 스테인리스스틸, 2004
작가노트
오랜 시간 ‘움직임의 시학(詩學)’ 또는 ‘시적(詩的)장치’ 들을 만들어 왔습니다. 이 장치는 키네틱 조각이지만 일반적인 키네틱 작품들의 시지각적인 차원을 넘어 우리와 대면한 세계 또는 시스템에 대한 편안함 속에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분명히 갈등적 요소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는 어떤 장치라 말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무한히 소급되고 확장되는 세계이며, 본인 또한 거대한 장치 속으로 빠져 들며 피아(彼我)를 구분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서사구조를 포기하고, 파편화된 삶, 끊임없이 변경되고 재구성되고 재의미화 되는 삶이 주는 가능성을 생각 했습니다.
그 즈음 다시 복권시킨 것은 ‘시간’이라는 추상관념이었습니다. 지난 본인의 졸작 ‘평면의 시간’(2005)에서 시간을 인지하는 것은 두께면(Thickness)을 인지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이번 작업은 그것을 노골화 시킨 것입니다.
공간을 다루는 조각가에게 미처 생각지 못한 것은 시간일 것입니다. 만들어진 그대로 영속성을 갖는 조각은 시간에 대한 고찰이 필요치 않은 것이니 말입니다. 플루서는 ‘조각은 시간성 없는 입체’라고 설명하지요. 그러나 조각은 메두사를 대면한 찰나가 아닌 것입니다. 작품이 만들어지는 것은 볼륨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좌표를 부여받고 만들어지고 놓인 제 역할을 충분히 할 따름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놓여진, 또는 만들어진 좌표와 함께 착점(着點)과 종점(終點)이 존재하는 시간의 그물망 속에서 무수히 많은 시간판(layer)들이 중첩된 것으로 봅니다.
벽에 납작하게 은폐된 형상은 그의 그림자를 드리우며 자신의 존재를 언뜻 보이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합니다. 그림자의 이동이 원근법을 변화시켜 관람자의 절대좌표를 또한 흔들어 놓습니다. 그냥 표면만을 대면하는 것, 주변을 움직여 주체를 살아있게 하는 것, 주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하는 것, 실체를 뺀 움직임만으로 현실세계를 은유하는 것, 관람자의 움찔하는 감각을 유발시켜 찰나에 주목하게 만드는 것, 그림자를 최대한 강조하여 주체를 보지 않게 하는 것, 3차원과 2차원을 넘나드는 것 등 그간 기계 시퀀스가 서사구조에 맞게 연속적인 움직임을 보였다면 현재의 작품들은 보다 간결하고 함축적인 시적세계를 지향합니다.
안수진
참여작가 프로필
안수진 / Ahn, soo jin / 安秀振
1962 경기생
199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1993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현재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겸임교수
● 개인전
2015 기억공작소<안수진-그림자> (봉산문화회관 기획전, 대구)
2014 현대자동차 디자인연구소 (현대자동차 기흥연구소)
2010 움직임의 시학 (뉴욕 링컨센터 초청, 서울문화재단 전시)
Time Box (부티크 모나코미술관)
2009 Frame (김종영미술관)
2004 Metronome (일민미술관 기획전)
1999 혓바늘 (인화랑 초대전)
1996 Neo Kinetic Arts installation show (토탈미술관 기획전)
1994 潛行 (금호갤러리 기획전)
● 단체전
2015 김종영탄생100주년기념전 (김종영미술관)
2014 갤러리가회 개관기념전 (Gallery W Gahoe)
2013 국제조각패스타 (예술의전당)
스틸아트전 (포항시립미술관)
행복의 나라–양평 (양평군립미술관)
마이아미 아트페어 (Art Miam, USA)
팜비치 아트페어 (Art Palmbeach, USA)
2012 시간의 풍경전 (artcenter NABI)
2011 움직이는 미술_kinetic art (제주도립미술관)
조각의 외연 (소마미술관)
2010 아트페어SOAF (비컨갤러리)
과정을 묻다 (모란미술관)
2009 쟝팅겔리의 공구 상자 (경남도립미술관)
성균관대학교 미국 유타대 교수작품 교류전 (성균관대학교)
김종영미술관 오늘의 작가 (김종영미술관)
오 명화 (경기도미술관)
2008 과학정신과 현대미술 (KAIST)
2007 백남준 회고전 (예화랑)
관객을 찾아가는 조각전 (마나스갤러리)
중앙고등학교 설립100주년 기념전 (중앙고등학교)
2006 EHS project (세종문화회관미술관)
메르츠의 방 (서울시립미술관)
2005 한국 미술의 새로운 흐름 (모란미술관)
하드코어 머신 (대안공간 휴, 스케이프)
Mapping on the Root (경원대학교미술관)
다시 쓰는 파블로 곤충기 (가일미술관)
Go!Go! 신나는 미술관 (인사아트센터)
요술*미술 (대구MBC Gallery M)
Artist Project (사비나미술관)
2004 나는 작품을 만지러 미술관엘 간다. (수원미술전시관)
2003 물 위를 걷는 사람 (서울시립미술관)
인천영상아트비엔날레 (인천예총회관)
2002 움직임의 시학 (인천, 광주 신세계미술관)
황금날개 (모란미술관)
Media city (서울시립미술관)
2001 기초/전망 예술의 힘, 청년 작가전 (서울미술관)
안양과학대학 상징 조형물 (안양과학대학 교정)
미술에 담긴 과학 (대전시립미술관)
2000 대진 대학교 교수 작품 전 (덕원미술관)
Virtually yours (세종문화회관)
놀이공원 전 (성곡미술관)
말을 걸어오는 성 (동덕화랑)
●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일산 유승종합건설 주상복합아파트, 안양과학대학, 보령제약회사, 토탈미술관, 금호미술관, 벽산건설, 분당 한국학원, 모란미술관, 송도 경제특구 주상복합아파트 The #, 경기도 현대미술관, 비컨 갤러리
www.ahnsoojin.com
dkstnwls@gmail.com